[잊혀진 전북의 파독 영웅들] (상) 전북 파독 광부·간호사들의 여정
1960년대 한국전쟁 이후 극심한 빈곤, 젊은이에게 독일행은 유일한 탈출구
개인생계 넘어 벌어들인 외화는 경제발전의 기틀, 국제 금융시장 신뢰 얻어
언어 장벽 속 낯선 환경과 고된 노동, 음식 등 문화적 차이 적응 어려워
명절 때면 고향 생각, 가족들의 편지와 고향 노래로 그리움 이겨내
1960년대 초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였다. 특히 전북은 농업 중심의 경제 구조로 더욱 열악한 상황이었다. 한국전쟁의 상흔이 아직 생생하던 그 시절, 전북의 젊은이들에게 독일행은 단순한 선택이 아닌, 유일한 탈출구이자 희망의 불빛과도 같았다.
지난해 2023년은 한국 현대사의 한 장을 장식하는 파독 광부 60주년, 파독 간호사 57주년을 맞는 특별한 해였다. 그러나 오늘날의 전북에서는 이제 80대 노인이 된 이들의 이야기가 제대로 조명받지 못한 채 서서히 잊혀져가고 있다.
추석을 앞두고 김관영 전북도지사를 비롯한 전북 대표단은 지난 6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 한인성당에서 파독 광부·간호사 초청 간담회를 개최했다. 한국어와 독일어가 뒤섞인 대화 속에서, 고향 소식을 애타게 듣고자 하는 노년의 파독 근로자들의 모습은 참석자들의 마음을 숙연하게 만들었다.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전북일보는 두 차례에 걸쳐 잊혀져 가는 전북 출신 파독 근로자들의 당시 삶과 아쉬운 현실을 되돌아본다.
#1 "그때 우리가 먹고 살기 힘든 것을 지금의 젊은이들한테 이야기하면 이해가 안 될 거야. 기계로 탄을 캐는데 장비가 서양 사람들의 체격에 맞게 돼 있어 벅차더라고. 일을 하고 와서는 밤엔 손이 저리고 마비가 돼 잠을 못 이뤘지. 밤에 울면서 털어놓을 수도 있었겠지만, 자야 할 시간에도 일을 해야 했어. 갱도의 열기는 40도 가까이 됐고, 먼지가 자욱해 마스크를 써야 했는데 그마저도 무거워 일하기 힘들었던 게 일상이었지."(1970년 7월 22일 29세 나이로 독일행 비행기에 오른 김제 출신의 한감열(82) 전 파독 광부)
#2 "먹고살 게 없어 해외개발공사에서 외국에 보내준다는 소리를 듣고 무작정 지원했지. 돈도 없고, 빽도 없고, 먹고 살기 힘들어 외국이라도 보내주면 좋다고 이야기했는데, 계약서를 쓰고 보내주는 조건으로 6개월 안에 돈을 보내준다고 그러더구먼. 빵 냄새가 너무 이상해서 먹기 힘들어도, 배가 고파서 참고 먹어야 했어. 그 시절 가족들의 편지 한 장이 어찌나 행복했는지 몰라."(1970년 7월 독일 땅을 밟은 정읍 출신의 나진문(79) 전 파독 광부)
#3 "언어 장벽이 있어서 당시 현지 간호사들은 편한 일을 하고, 우리들에겐 궃은 일을 시키기도 했지. 후진국에서 왔다는 이유로 눈치도 많이 봤어. 의사소통이 어렵다 보니 치약을 사려고 슈퍼마켓에 갔는데 딸기잼을 사서 양치질한 에피소드도 있지. 추석이나 설날 같은 명절이 되면 고향 생각이 너무 나 테이프로 제작해 온 한국 노래를 들으며 위안을 삼았지." (1972년 12월, 23세 나이로 독일로 떠난 완주 출신의 김혜선(70대) 전 파독 간호사)
1960년대와 70년대, 한국의 젊은이들이 독일행을 선택한 이유는 다양하지만, 단순한 개인의 결정이 아니었다. 이들의 공헌은 한국 경제 발전의 핵심 동력이나 한국 경제의 초석을 다지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정부는 돈을 빌리기 어려운 현실 속 국제 금융시장으로부터 신뢰를 얻기도 했다.
파독 근로자들은 언어와 문화의 장벽 속에서 고군분투했다. 광부들은 지하 1000m 깊이, 35도가 넘는 고온의 갱도에서 매일 생명의 위험을 느껴야 했다.
간호사들 역시 본인의 체구보다 두 배나 되는 서양인들을 돌봐야 했고, 많은 이들이 허리 디스크 등 직업병에 시달려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실한 근무 자세와 친절한 미소로 '코리아 엔젤(Korean Angel)'이라는 극찬 속에서 한국인의 근면 성실함을 인정받았다.
당시 한국 정부는 파독 근로자들의 노동력을 담보로 독일 정부로부터 1억 5000만 마르크의 차관을 얻어냈고, 이는 한국의 주요 산업 인프라 구축에 사용됐다.
그러나 이러한 경제적 성과의 이면에는 깊은 아픔도 있었다. 산업 재해와 질병으로 고국에 돌아오지 못했거나 평생을 트라우마로 시달리는 이야기 등이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는 점은 큰 아쉬움으로 남고 있다. /김선찬 기자
#전북 #파독 #광부 #간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