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다 위험하면 신고하라더니…전화연결 30% ‘부재중’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용노동부가 산업현장에서 노동자가 위험에 노출됐을 때 도움을 주기 위해 운영하고 있는 '위험상담신고전화'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노동자들을 더 큰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9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위험상담신고전화 운영 현황'에 따르면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총 8635건의 신고 중 30%에 달하는 2473건은 연결이 되지 않은 부재중 통화로 확인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신고전화 중 30%는 부재중
별도 예산·인력 없이 공무원이 응대
주말·야간에는 개인 휴대전화로 착신전환
고용노동부가 산업현장에서 노동자가 위험에 노출됐을 때 도움을 주기 위해 운영하고 있는 ‘위험상담신고전화’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노동자들을 더 큰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9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위험상담신고전화 운영 현황’에 따르면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총 8635건의 신고 중 30%에 달하는 2473건은 연결이 되지 않은 부재중 통화로 확인됐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광주청(광주·전라)에서는 절반에 가까운 45.26%의 전화가 연결되지 않았다. 이어 ▲중부청(경기·인천·강원) 31.06% ▲부산청(부산·경남) 26.59% ▲서울청 26.38% 등 순이었다.
전화가 연결된 경우에도 현장 출동 건수는 27%(2326건)에 불과했다. 신고 10건 중 7건은 신속한 조치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셈이다.
김태선 의원은 “이처럼 낮은 응답률과 출동률은 노동부의 주먹구구식 부실 운영이 배경”이라며 “노동부는 위험상담신고전화와 관련한 별도의 예산 및 전담 인력없이 공무원들에게 부가업무로 전화 응대를 떠맡기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더욱이 야간 및 휴일에는 신고 전화가 올 경우 착신전환 기능을 통해 공무원의 개인 휴대전화로 연결해 받도록 하고 있었다”며 “위험 상황에서 벗어나도록 도와주겠다는 신고전화가 연결조차 되지 않아, 긴급한 상황에서 오히려 노동자를 더 큰 위험에 빠뜨리고 문제 해결을 위한 골든타임을 놓치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