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산 명태·오징어 보기 힘들더니…이런 이유였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동해에서 명태와 오징어 등 해산물이 사라지고 있다.
기후변화에 따라 동해의 수온이 높아진 것이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김현우 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연구관은 명태‧오징어 어획량 급감에 대해 "수온 상승과 과도한 어획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과거에 방어는 제주도 연안에서 많이 잡혔지만 수온 상승으로 어장이 북상하면서 지금은 동해 남부 쪽에서도 잡힌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구 표층 수온 상승 평균 0.7℃보다 높아
동해에서 명태와 오징어 등 해산물이 사라지고 있다. 기후변화에 따라 동해의 수온이 높아진 것이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13일 국립수산과학원의 ‘2024 수산 분야 기후변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1968∼2023년 56년간 우리나라 해역의 표층 수온은 1.44℃ 상승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지구 표층 수온 상승 평균인 0.7℃와 견줘 2배 수준이다.
우리나라 해역 중에서도 동해의 수온 상승폭이 1.9℃로 가장 컸다. 이어 ▲서해 1.27℃ ▲남해 1.15℃ 순으로 집계됐다.
이런 변화는 동해의 어획량 급감으로 이어졌다. 한때 ‘국민 생선’으로 불리던 명태는 찾아보기 힘들어졌고 오징어의 어획량도 크게 줄어들었다.
명태의 연간 어획량은 1980년대에 10만톤(t)을 넘었지만 지난 2007년 이후 1∼2t정도로 줄어들었다. 해양수산부가 2014년 인공적으로 수정란을 부화해 키운 어린 명태를 바다에 푸는 ‘명태 살리기 사업’을 추진하면서, 2019년부터 명태 어획이 전면 금지돼 러시아산에 의존하고 있다.
오징어도 명태의 전철을 밟고 있다. 2000년대 오징어의 연간 어획량은 20만t에 달했지만, 지난해는 2만3000t까지 줄어들었다.
김현우 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연구관은 명태‧오징어 어획량 급감에 대해 “수온 상승과 과도한 어획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과거에 방어는 제주도 연안에서 많이 잡혔지만 수온 상승으로 어장이 북상하면서 지금은 동해 남부 쪽에서도 잡힌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우리나라 해역이 앞으로 점점 뜨거워질 수 있다는 점이다. 수산과학원은 2100년까지 우리 바다 수온이 시나리오에 따라 1∼4℃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