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배달앱 수수료 인상에도 외면 받는 '배달특급'

사진=경기도

민간 배달앱들이 중개수수료를 인상하는 가운데 공공배달앱이 대안책으로 제시되기 어려울 것으로 관측된다.

경기도의 경우 공공 배달앱 ‘배달특급’을 통해 수년간 수수료 1%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용자 수는 매년 줄어들고 있어서다.

30일 중부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배달특급은 경기도가 민간 배달앱보다 낮은 수수료로 소상공인의 부담을 줄이고자 지난 2020년 출범한 배달 플랫폼이다.

민간 배달앱 3사 (배달의민족·쿠팡이츠·요기요)의 수수료가 각각 6.8%·9.8%·12.5%인 것과 달리 배달특급은 ‘1%’인 게 특징이다.

이에 시행 초 3천690곳에 그쳤던 가맹점 수가 현재 6만3천684곳으로 16배가량 급증하기도 했다.

그러나 늘어난 가맹점과는 다르게 이용자는 꾸준히 감소세를 보인다.

이채영 경기도의원(국민의힘·비례)이 제공한 자료에는 매년 12월 기준 배달특급 월 이용자 수가 ▶2021년 60만1천158명 ▶2022년 41만8천725명 ▶지난해 33만9천506명이었다. 올해 2월에는 26만3천910명을 기록하며 3년 새 절반 넘게 줄었다.

중개수수료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게 배달플랫폼의 특성인데, 이용자수가 떨어지자 실적도 덩달아 저조한 상태다.

실제 배달특급 운영을 위해 투입된 예산은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137억 원· 80억 원·71억 원인 반면, 수익은 매년 9억~12억 원에 불과해 최소 60여억 원에서 최대 120억 원의 손실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같은 상황서 점유율 1위 배달의민족이 ‘배민1플러스’의 수수료 3%p 인상 계획을 밝히며 다음 달 9일부터는 수수료가 9.8%로 높아지게 됐다.

자영업자들은 높은 수수료에 불만을 토로하고 있지만 공공배달앱이 해결책이 되진 못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오산시에서 요식업을 하는 손모씨는 "배달특급을 통해 배달 주문이 들어오는 경우는 드물다 보니 리뷰가 달리지 않고, 소비자들은 리뷰가 없어 음식을 주문하지 않는다"며 "공공앱이 수수료가 낮아도 주문율이 높은 민간 플랫폼을 대체하긴 힘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직장인 임모씨는 "배달 플랫폼을 전환해도 3사에서만 그치고 있다"며 "민간배달앱과 비교해 낮은 가맹점 수와 낯선 앱 환경에 손길이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영애 인천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공공 배달 플랫폼이 민간 플랫폼을 따라가기 위해선 선점 효과를 뺏어야 한다"면서도 "이를 위해 이탈 고객을 꾸준히 확보해 규모의 경제를 갖춰야 하지만 상당한 비용이 수반되는 만큼 쉽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명호기자

#경기 #배달특급

Copyright © 중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