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신보험과 변액보험에 대해 알아봅시다.TXT

조회 4582025. 1. 8.

1. 종신보험의 특징 & 기능

1) 조기해약 시 원금손실 (다만 원금 도달 시점이 장기, 조기해약 시 고객손해가 100%)
2) 사망보험금 지급. 약정금액 그대로
3) (요건 충족시) 수시입출금 가능
4) 은행보다 높은 이율, 원금에 도달한 이후 종신보험 > 은행예금
- 원금도달 시점이면 사업비 리스크 해결. 2020년 기준으로 2.5% ~ 2.75% 고정금리로 확정된 복리. (10~20년 뒤에도 2.5~2.75 이율로 지급)
5) 10년 이상 보험 유지시 -> 비과세 계좌로 전환 (해지하더라도 환급금 비과세)
6) 연금 기능 있음 - 연금 전환 or 선지급
7) 납입 기간에 사고, 질병 합산 종합 장해율 50%이상 시, 특약 (암, 뇌, 심근경색) 다음 달부터 보험급 납인 안해도 됨.

주 서비스는 엄연히 사망보장금. 저축, 연금, 건강보험은 부가 서비스임. 

(1) 저축기능으로 볼때

저축으로 생각한다면 최소 완납 기간 + 완납 후 10년이상은지나야 효과를 봄. 완납때 까지는 사업비를 많이 떼가고 남은 금액에서 연 이율이 복리로 적립되는것이기 때문에 완납할때쯤 되면 본전이됨. 

예를들면 월 20만원씩 10년 납, 최저보증이율이 2.5%라고 했을때

- 처음 20만원이 그대로 축적되는것이 아니라 사업비 제외하고 15만원씩 적립되면서 2.5% 이율이 붙는거. 해가 지날수록 사업비 떼가는게 줄어들면서 2.5%가 붙지만 저렇게 적립하기때문에 10년납이 끝나야 거의 원금이 됨. 그 이후부터 매년 2.5% 연이율이 복리로 붙지만... 저축목적으로 가입했다면 10년 납하고 원금 찾으려고 종신보험을 가입하진않겠지. 진짜 목돈 만들고 싶으면 10년 납 상품이면 가입 후 20년은 되어야 함.

(2) 연금기능

* 애초에 노후자금 목적으로 설계된 상품이 아니다. 사망보험금이 지급되는 보장성 보험으로 순수 연금보험 상품보다 사업비 규모가 큰 상품
** 연금기능은 연금전환 기능, 연근선지급 기능. 두 가지로 나뉨. 

연금전환 선택 시, 그 시점의 경험생명표 적용. 그 당시 해지환급금 가지고 종신보험 해지 후 연금보험으로 전환.
연금선지급 선택 시, 사망보험금을 연금으로 나눠주며 연금으로 지급된 액수만큼 사망보험금이 줄어듬

1) 연금보험(or 연금저축보험) = 변동금리 -> 연금수령시점 금리중요 -> 하락 시 연금수령액 감소
- 즉, 가입당시 공시이율이 중요한게 아니라 수령 당시 이율이 중요
- 연금보험 등은 최저보증이율로 최소한의 금액은 확보, 아무리 금리가 떨어져도 이만큼은 주겠다..
(1~5년차 최저보증이율 1.25% / 6~10년차 최저보증이율 1% / 11년차 이후 최저보증이율 0.5%)

2) 종신보험을 연금으로 받을 경우 연금 전환 or 연금 선지급 둘 중 택일
- 연금전환으로 선택 시 사망보장은 없어짐. 종신보험을 해지하고 그 해지환급금이 연금보험으로 전환되는것임. 일반연금보험과 동일해지며 연금개시시점의 이율을 적용함.
ex) 2.5%고정이율로 종신보험가입했는데 수년이 지난후 연금전환 선택. 그 당시 연금보험 공시이율이 1.5%면 1.5%이율을 적용받게 됨.
- 연금 선지급 선택 시, 종신보험은 그대로 유지하게 됨. 다만 사망보험금에서 연금이 지급되어 지급된 만큼 사망보험금이 차감됨. 그 외 보장기능은 유지.

(3) 가입대상(?)

- 보험설계사의 저축기능 드립, 연금기능 드립에 넘어가지 않고 스스로 혹시 몰라 가족들을 위한 수단으로 가입하는 경우.. 이 경우는 낚인게 아님..;

- 앞서 말한 10년 계좌 유지할경우 비과세라는 부분 때문에 상속수단으로 이용하기 위해 부자들이 가입하는 경우가 많다고 함.

------------------------------------------------

2.  변액보험

* 말이 보험이지 실제로는 투자하는 펀드계좌. 사업비 엄청 뗌 (9%이상). 저렴한 사업비를 원한다면 온라인 가입이 나음. 변액보험 10년 유지 시 비과세 계좌가 됨. 장기투자용으로 비과세 기능이 장점이긴한데 비과세 혜택을 볼 그 액수가 10년 이상 떼어간 사업비를 뛰어넘느야.. 그만큼의 사업비를 지출하면서 까지 비과세 계좌를 만들어야하느냐가 관건

** 투자하는 보험인데 선택할수 있는게 한정. 주식, ETF, 인덱스펀드 안됨. 자산운용사에서 만든 펀드만 가능한데 문제는

EX) A생명사 변액보험이면 A자산운용사에서 만든 펀드상품만 매수
B생명사 변액보험이면 B자산운용사에서 만든 펀드상품만 매수

*** 변액보험역시 10년 유지하면 비과세 계좌가 됨. 소득세, 매매차익 등등... 그러나 과하게 떼어간 사업비 이상의 수익이 나느냐가 관건

1) 월 50씩, 15년간 변액보험으로 투자 (사업비 9%라고 가정)
2) 월 50씩, 15년간 일반계좌로 투자 (매도시 15.4%과세)

계산결과 연 8%수익은 나야 변액보험 투자>일반주식계좌 투자

가입대상 : 절세하면서 투자 가능한 연금저축 & IRP & ISA가 합해서 연 3800이 한도인데 그 이상으로 투자하고 싶은 부자들.. 실제 변액보험은 10년 이상유지할경우 비과세라는 점때문에 종신보험처럼 부자들이 많이들 가입함

------------------

결론 : 종신보험이나 변액보험 둘다 보험자체가 나쁜게 아니라 가입할 사람들은 따로 정해져있는데 필요없는 사람들에게까지 판매가 되니까 문제..;;;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