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황금 들녘…벼멸구 공습에 논농사 초토화

2024. 9. 24. 19:3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앵커멘트 】 벼에 치명적인 해충인 벼멸구가 창궐하면서 농가의 피해가 커지고 있습니다. 보름 전 호남을 시작으로 충남과 경남지방으로 빠르게 번지고 있는데, 현재까지 축구장 3만 6천 개에 달하는 논이 초토화됐습니다. 기후변화가 가장 큰 원인입니다. 강세훈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수확을 앞둔 들녘이 폭탄을 맞은 듯 움푹 패였습니다.

벼는 황갈색으로 변해 모두 옆으로 쓰러져 있습니다.

정상적인 벼도 이삭을 들춰보니 새카만 벌레가 수북합니다.

벼농사에 치명적인 벼멸구입니다.

▶ 스탠딩 : 강세훈 / 기자 - "벼멸구는 벼 줄기에 붙어서 즙을 빨아먹는 해충인데요. 벼가 잘 자라지 못해 결국은 이렇게 말라 죽게 됩니다."

전남지방은 상황이 더 심각합니다.

아예 수확을 포기한 논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허 환 / 쌀 재배 농민 - "쌀값도 매우 떨어져서 기분이 안 좋은데 멸구까지 와서 이렇게 두 번 (고통을 주니까…)."

현재까지 확인된 피해 규모는 2만 6천 헥타르, 축구장 3만 6천 개 면적에 달합니다.

벼멸구는 6월에서 7월, 중국에서 편서풍을 타고 건너와 피해를 주는데, 올해는 9월까지 무더위가 이어지면서 개체 수가 급증했습니다.

▶ 인터뷰 : 채의석 / 농촌진흥청 재해대응과장 - "올여름 무더위가 벼멸구 증식에는 최상의 조건이었습니다. 그래서 보통 알을 두 번 정도만 낳아야 하는데 세 번까지 낳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또 농약에 내성이 생겨 벼멸구 확산을 막는데 역부족입니다.

정부는 저품질 쌀 유통을 막기 위해 피해를 입은 벼를 전량 매입하기로 했습니다.

MBN뉴스 강세훈입니다.

영상취재 : 조계홍·최양규 기자 영상편집 : 오혜진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