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 <전원주택라이프>는 창간 26주년을 맞아 작년 한 해 동안 소개한 주택 가운데 온라인 채널 인기도에 편집부의 자체 평가를 더해 인기주택을 선정했다. 우선, 네이버포스트와 다음채널 스튜디오에 업로드된 주택을 대상으로 조회 수를 조사해 총 40채를 추렸다. 이 중 조회수 기록에 내외부 디자인과 친환경성 등에 관한 편집부의 정성적 평가를 더해 주택 12채를 엄선, 잡지에 게재된 순서를 기준으로 소개한다. 소개된 인기주택들이 많은 눈길을 끌어 침체된 전원·단독 주택시장의 수요 회복에 큰 보탬이 되기를 희망한다.
진행 편집부
진행 편집부
01 아내를 위한 남편의 선물 영암 주택 ‘세 자매 집 ’
02 중정과 긴밀한 관계 맺는 파주 주택 ‘현재 ’
03 아늑함과 편안한 쉼이 있는 인천 주택
04 섬세하고 견고한 주택 인천 청라 주택
05 서패동 연씨네 집 파주 주택 ‘서연가’
06 불규칙한 볼륨 속 새로운 일상 펼칠 고성 주택 ‘MA477 ’
07 효율적 공간 구성 이룬 뷰 맛집 양평 ‘ㄱ’자 주택
08 설악산 울산바위 풍경 담은 고성 주택 ‘이현재 ’
09 삶의 질 높이는 안락한 보금자리 세종 고운동 주택
10 삶이 오롯이 담긴 튼 ‘ㅁ’자 집 강릉 주택 ‘명경재’
11 따뜻하고 편안한 집 화성 주택 ‘토우재’
12 환갑 맞은 모서리 집의 대변신 종암동 상가주택 리모델링
02 중정과 긴밀한 관계 맺는 파주 주택 ‘현재 ’
03 아늑함과 편안한 쉼이 있는 인천 주택
04 섬세하고 견고한 주택 인천 청라 주택
05 서패동 연씨네 집 파주 주택 ‘서연가’
06 불규칙한 볼륨 속 새로운 일상 펼칠 고성 주택 ‘MA477 ’
07 효율적 공간 구성 이룬 뷰 맛집 양평 ‘ㄱ’자 주택
08 설악산 울산바위 풍경 담은 고성 주택 ‘이현재 ’
09 삶의 질 높이는 안락한 보금자리 세종 고운동 주택
10 삶이 오롯이 담긴 튼 ‘ㅁ’자 집 강릉 주택 ‘명경재’
11 따뜻하고 편안한 집 화성 주택 ‘토우재’
12 환갑 맞은 모서리 집의 대변신 종암동 상가주택 리모델링
아내를 위한 남편의 선물 영암 주택 ‘세 자매 집’
건축주 아내는 영암이 고향이다. 현재 둘째 언니가 바로 인근에 전원주택을 짓고 살고 있으며 큰 언니도 지난해 가을 바로 옆 부지에 단층집을 지음으로써 세 자매의 오랜 꿈은 현실이 됐다. 마산, 서울, 영암 등에서 흩어져 살던 자매들이 전원주택을 매개로 한 동네에서 ‘따로 또 같이’ 살게 된 것이다.
주택은 지중해풍 디자인을 기반으로 얹은 스페니쉬 기와가 특징이다. 정남향에 주택을 중심으로 서쪽에 월출산이 보이도록 계획했으며 동쪽은 평야가 펼쳐져 있어 시야에 막힘이 없다. 이를 살려 월출산 풍경을 감상할 수 있도록 2층에는 카페처럼 포치를 꾸며 놨다. 1층은 거실, 주방·식당 등 공용공간과 안방을 배치했다. 거실은 2층 천장까지 오픈해 개방감을 극대화했다. 통창, 고창 등 여러 개의 창을 계획해 채광뿐만 아니라 조망까지 놓치지 않도록 했다.
남쪽 양지바른 곳에 배치한 정원 마당이 아내가 가장 시간을 많이 보내는 곳이라면 반대로 남편은 주방에서 가장 시간을 많이 보낸다. 화이트 톤으로 통일한 주방가구, 심플하지만 주방을 멋스럽게 만드는 팬던트등 그리고 보조주방까지 전부 남편의 의견을 반영해 설계됐다. 계단실을 오르면 2층 가족실을 만나게 된다. 포치와 연계된 방은 현재 다용도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박공지붕 모양을 살린 작은 방에는 천창과 삼각 창문으로 특별한 공간을 만들었다. 천창은 건축주 남편의 로망이기도 했다.
정리 편집부 | 자료 ㈜재영건설
주택은 지중해풍 디자인을 기반으로 얹은 스페니쉬 기와가 특징이다. 정남향에 주택을 중심으로 서쪽에 월출산이 보이도록 계획했으며 동쪽은 평야가 펼쳐져 있어 시야에 막힘이 없다. 이를 살려 월출산 풍경을 감상할 수 있도록 2층에는 카페처럼 포치를 꾸며 놨다. 1층은 거실, 주방·식당 등 공용공간과 안방을 배치했다. 거실은 2층 천장까지 오픈해 개방감을 극대화했다. 통창, 고창 등 여러 개의 창을 계획해 채광뿐만 아니라 조망까지 놓치지 않도록 했다.
남쪽 양지바른 곳에 배치한 정원 마당이 아내가 가장 시간을 많이 보내는 곳이라면 반대로 남편은 주방에서 가장 시간을 많이 보낸다. 화이트 톤으로 통일한 주방가구, 심플하지만 주방을 멋스럽게 만드는 팬던트등 그리고 보조주방까지 전부 남편의 의견을 반영해 설계됐다. 계단실을 오르면 2층 가족실을 만나게 된다. 포치와 연계된 방은 현재 다용도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박공지붕 모양을 살린 작은 방에는 천창과 삼각 창문으로 특별한 공간을 만들었다. 천창은 건축주 남편의 로망이기도 했다.
정리 편집부 | 자료 ㈜재영건설
HOUSE NOTE
위치 전남 영암군 영암읍
건축구조 경량 목구조
대지면적 962㎡(291평)
건축면적 140.13㎡(42.39평)
연면적 158.13㎡(47.83평)
설계 성우건축사사무소 061-381-3843
시공 재영건설
031-634-6160, 010-2328-6160
www.jae-young.co.kr
위치 전남 영암군 영암읍
건축구조 경량 목구조
대지면적 962㎡(291평)
건축면적 140.13㎡(42.39평)
연면적 158.13㎡(47.83평)
설계 성우건축사사무소 061-381-3843
시공 재영건설
031-634-6160, 010-2328-6160
www.jae-young.co.kr
중정과 긴밀한 관계 맺는 파주 주택 ‘현재’
건축주는 첫 미팅 때부터 벽돌과 나무를 주택의 주재료로 생각하고 있었다. 오랫동안 살아갈 집이기에 시간의 흐름에 따른 노후가 덜한 적색 벽돌을 외벽 마감재로 해, 온화하면서도 견고해 보이는 느낌을 주고자 했다. 내부 인테리어는 목재를 메인 재료로 계획하면서 마루, 계단 마감재, 책꽂이 선반, 싱크대 등의 컬러를 통일해 단정함과 심플함이 느껴지도록 했다.
건축주는 내부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고 외부 요인으로부터 보호되는 집을 원했다. 인접 대지와 만나는 북측에 2층을 두고 도로에 면한 부분은 1층으로 계획해 남측으로 하늘이 열리며 전체적으로 채광이 유입되도록 했다. 대부분의 실은 중정 방향으로 창문을 내어 개방감을 주고 외부 창은 최소화해 프라이버시를 확보했다.
건축주는 직접 꾸민 정원을 보며 일할 수 있는 식당 공간과 프라이버시가 확보된 안방을 중요하게 여겼다. 더불어 온천을 좋아하는 모녀는 넓은 욕조와 밝은 분위기의 욕실을 바랐다. 1층은 중정을 중심으로 현관-거실-식당-주방으로 이어지는 공용공간과 복도로 연결되는 안방의 공간을 구분해 배치했고 2층은 자녀의 공간과 햇빛이 잘 드는 욕실, 가족실을 간결하게 배치했다.
정리 편집부 | 사진 김용순 작가
건축주는 내부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고 외부 요인으로부터 보호되는 집을 원했다. 인접 대지와 만나는 북측에 2층을 두고 도로에 면한 부분은 1층으로 계획해 남측으로 하늘이 열리며 전체적으로 채광이 유입되도록 했다. 대부분의 실은 중정 방향으로 창문을 내어 개방감을 주고 외부 창은 최소화해 프라이버시를 확보했다.
건축주는 직접 꾸민 정원을 보며 일할 수 있는 식당 공간과 프라이버시가 확보된 안방을 중요하게 여겼다. 더불어 온천을 좋아하는 모녀는 넓은 욕조와 밝은 분위기의 욕실을 바랐다. 1층은 중정을 중심으로 현관-거실-식당-주방으로 이어지는 공용공간과 복도로 연결되는 안방의 공간을 구분해 배치했고 2층은 자녀의 공간과 햇빛이 잘 드는 욕실, 가족실을 간결하게 배치했다.
정리 편집부 | 사진 김용순 작가
HOUSE NOTE
위치 경기 파주시
건축구조 경량 목구조
대지면적 283.40㎡(85.72평)
건축면적 139.21㎡(42.11평)
연면적 196.88㎡(59.55평)
설계 ㈜유타건축사사무소
02-556-6903 www.utaa.co.kr
시공 시스홈
02-704-0482 blog.naver.com/hesungyu
위치 경기 파주시
건축구조 경량 목구조
대지면적 283.40㎡(85.72평)
건축면적 139.21㎡(42.11평)
연면적 196.88㎡(59.55평)
설계 ㈜유타건축사사무소
02-556-6903 www.utaa.co.kr
시공 시스홈
02-704-0482 blog.naver.com/hesungyu
아늑함과 편안한 쉼이 있는 인천 주택
목조 건축물이 100년 주택으로 갖춰야 할 사항들을 점검하는 ‘5-STAR 품질인증제도’의 구조, 단열 등 품질 기준을 검증받고 그 기준을 통과해 인증서를 부여받은 우수 주택이다. 천장고가 높은 거실과 넓은 포치가 딸린 주방이 눈에 띄는 ‘ㄱ’자 형태의 집이다. 거실은 아트월 벽면 높이를 2층 난간 높이만큼 연장해 오픈부 난간 역할을 함과 동시에 아트월 면이 더 드라마틱하게 보일 수 있도록 구성했다. 특히, 대리석 패턴의 바닥 타일이 인상적인 럭셔리한 주방과 바로 연결돼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 포치는 다이닝룸이나 카페처럼 사용할 수 있으며, 폴딩 도어를 2bay로 설치해 개방성을 높였다.
이곳 주택은 넓은 앞마당과 채광을 확보하기 위해 건물을 최대한 북쪽으로 붙여서 배치했다. 대지 전체 테두리에는 보강토를 쌓고 담장을 둘러 안전하고 아늑한 주택으로 건축했으며, 대문을 마당 제일 남쪽에 배치해 웅장한 건물 정면을 바라보며 주택에 진입하도록 의도했다.
정리 편집부 | 사진 더존하우징 기획부
이곳 주택은 넓은 앞마당과 채광을 확보하기 위해 건물을 최대한 북쪽으로 붙여서 배치했다. 대지 전체 테두리에는 보강토를 쌓고 담장을 둘러 안전하고 아늑한 주택으로 건축했으며, 대문을 마당 제일 남쪽에 배치해 웅장한 건물 정면을 바라보며 주택에 진입하도록 의도했다.
정리 편집부 | 사진 더존하우징 기획부
HOUSE NOTE
위치 인천시 강화군 송해면
건축구조 경량 목구조
총면적 176.73㎡(53.46평)
1층 119.34㎡(36.10평)
2층 57.39㎡(17.36평)
설계 및 시공 더존하우징
1644-3696 www.dujon.co.kr
위치 인천시 강화군 송해면
건축구조 경량 목구조
총면적 176.73㎡(53.46평)
1층 119.34㎡(36.10평)
2층 57.39㎡(17.36평)
설계 및 시공 더존하우징
1644-3696 www.dujon.co.kr
섬세하고 견고한 주택 인천 청라 주택
건축주는 화려하지만 정제된 형태를 추구했다. 그 뜻에 따라 섬세한 디자인 요소와 볼드한 매스의 중량감이 공존하는 주택을 완성하게 됐다. 뛰어난 기능성의 ASP 외벽 마감재를 비롯해 다양한 공법과 자재를 적용한 디자인이 조화롭다.
실내는 기본적으로 각 층에 사적 공간과 공적 공간이 함께하도록 구성했고 1층에 거실·주방·식당과 메인침실을, 2층에 가족실과 개인침실을 배치했다. 다시 1층은 현관을 기준으로 거실·주방·식당과 메인침실로 나뉜다. 특히 메인침실 영역은 욕실과 드레스룸을 포함해 마스터룸 개념으로 구성했다. 현관에서 진입할 수 있는 두 곳의 개구부도 공간을 다채롭게 느낄 수 있는 특별한 요소다.
2층은 가족실에 별도의 작은 주방을 더했다. 바로 옆에는 작은 테라스를 연계해 때로는 환기를, 때로는 경치를 즐길 수 있도록 계획했다. 한편, 중앙에는 널찍한 드레스룸이 자리하는데 각 침실에 계획하기보다 크게 하나 마련해 이용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채택했다. 넓은 루프탑에 조성한 수영장과 바비큐장은 기능적으로도 감성적으로도 훌륭한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정리 편집부 | 사진 윤성하우징
실내는 기본적으로 각 층에 사적 공간과 공적 공간이 함께하도록 구성했고 1층에 거실·주방·식당과 메인침실을, 2층에 가족실과 개인침실을 배치했다. 다시 1층은 현관을 기준으로 거실·주방·식당과 메인침실로 나뉜다. 특히 메인침실 영역은 욕실과 드레스룸을 포함해 마스터룸 개념으로 구성했다. 현관에서 진입할 수 있는 두 곳의 개구부도 공간을 다채롭게 느낄 수 있는 특별한 요소다.
2층은 가족실에 별도의 작은 주방을 더했다. 바로 옆에는 작은 테라스를 연계해 때로는 환기를, 때로는 경치를 즐길 수 있도록 계획했다. 한편, 중앙에는 널찍한 드레스룸이 자리하는데 각 침실에 계획하기보다 크게 하나 마련해 이용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채택했다. 넓은 루프탑에 조성한 수영장과 바비큐장은 기능적으로도 감성적으로도 훌륭한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정리 편집부 | 사진 윤성하우징
HOUSE NOTE
위치 인천 청라동
건축구조 철근콘크리트조
연면적 360.00㎡(108.90평)
1층 173.73㎡(52.55평)
2층 165.35㎡(50.02평)
옥탑 14.62㎡(4.42평)
포치 6.30㎡(1.91평)
루프탑 150.73㎡(45.6평)
설계 및 시공 윤성하우징
1566-0495 www.yunsunghousing.co.kr
위치 인천 청라동
건축구조 철근콘크리트조
연면적 360.00㎡(108.90평)
1층 173.73㎡(52.55평)
2층 165.35㎡(50.02평)
옥탑 14.62㎡(4.42평)
포치 6.30㎡(1.91평)
루프탑 150.73㎡(45.6평)
설계 및 시공 윤성하우징
1566-0495 www.yunsunghousing.co.kr
서패동 연씨네 집 파주 주택 ‘서연가’
의뢰인의 디자인에 대한 요청은 개성은 있되, 담백하면서도 ‘집’ 같은 단독주택이었다. 그래서 1층 거실에 한옥 내외부의 공간적, 구조부재적 특징을 반영해 보기로 했다.
거실은 내외부의 경계가 흐릿해지면서 부유하는 공간으로 읽히길 바랐다. 구조부재들이 실내 의장을 형성하고 조명의 디테일을 담게 되며, 현대적인 시스템창호는 내외부 공간을 나누는 기능과 함께 전경에 대한 거울이 된다. 건축언어로서 처마는 1층 거실과 정원, 2층 자쿠지, 외부에서의 장면적 독창성, 심학산을 향한 애정의 표현 등으로 사용됐다. 외부의 견출형 콘크리트 담장과 연계된 정원의 긴 외부 툇마루는 원형의 장독대 받침과 거실의 전경창과 연계됐다. 현관 쪽 실내 툇마루는 대청 서재와 거실, 2층과의 공간 분리를 이루지만 프로그램을 연결해준다. 수평수직 단차가 있는 높이만큼 한옥의 시지각성을 부여했다.
바닥의 재료는 외벽, 바닥 포장과 같은 벽돌을 사용해서 재질의 연속성과 질감의 일치를 시도했다. 도로변에서 출입하는 솟을문, 안마당과 연결되는 현관문 그리고 현관 툇마루는 수직적 수평적 층위를 형성해 주면서 누하진입樓下進入 공간도 만들어냈다. 주택의 주요 기능을 담당하는 길게 뻗은 2개 층의 구조물은 철근콘크리트로 구성하고 한옥과 같은 주제 공간을 담당하는 1층의 T자형 구조물은 경골 목조를 기본구조로 구성했다. 현대적인 주택과 한옥형 공간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스타일을 채택해 단독주택의 단조로움을 개선해보려 했다.
정리 편집부 | 사진 최진보 작가
거실은 내외부의 경계가 흐릿해지면서 부유하는 공간으로 읽히길 바랐다. 구조부재들이 실내 의장을 형성하고 조명의 디테일을 담게 되며, 현대적인 시스템창호는 내외부 공간을 나누는 기능과 함께 전경에 대한 거울이 된다. 건축언어로서 처마는 1층 거실과 정원, 2층 자쿠지, 외부에서의 장면적 독창성, 심학산을 향한 애정의 표현 등으로 사용됐다. 외부의 견출형 콘크리트 담장과 연계된 정원의 긴 외부 툇마루는 원형의 장독대 받침과 거실의 전경창과 연계됐다. 현관 쪽 실내 툇마루는 대청 서재와 거실, 2층과의 공간 분리를 이루지만 프로그램을 연결해준다. 수평수직 단차가 있는 높이만큼 한옥의 시지각성을 부여했다.
바닥의 재료는 외벽, 바닥 포장과 같은 벽돌을 사용해서 재질의 연속성과 질감의 일치를 시도했다. 도로변에서 출입하는 솟을문, 안마당과 연결되는 현관문 그리고 현관 툇마루는 수직적 수평적 층위를 형성해 주면서 누하진입樓下進入 공간도 만들어냈다. 주택의 주요 기능을 담당하는 길게 뻗은 2개 층의 구조물은 철근콘크리트로 구성하고 한옥과 같은 주제 공간을 담당하는 1층의 T자형 구조물은 경골 목조를 기본구조로 구성했다. 현대적인 주택과 한옥형 공간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스타일을 채택해 단독주택의 단조로움을 개선해보려 했다.
정리 편집부 | 사진 최진보 작가
HOUSE NOTE
위치 경기 파주시
건축구조 철골구조, 경골 목구조, 철근콘크리트조
대지면적 483㎡(146.36평)
건축면적 96.10㎡(29.12평)
연면적 156.75㎡(47.50평)
설계 ㈜해담건축 건축사사무소
010-9048-7510 www.headam.biz
시공 직영공사(해담건축CM/안태만)
위치 경기 파주시
건축구조 철골구조, 경골 목구조, 철근콘크리트조
대지면적 483㎡(146.36평)
건축면적 96.10㎡(29.12평)
연면적 156.75㎡(47.50평)
설계 ㈜해담건축 건축사사무소
010-9048-7510 www.headam.biz
시공 직영공사(해담건축CM/안태만)
불규칙한 볼륨 속 새로운 일상 펼칠 고성 주택 ‘MA477’
건축주는 서울에 거주하며 여행을 즐기곤 했다. 그동안 여러 좋은 리조트를 경험했지만 자신만의 고유한 휴식 공간을 늘 갈망했다. 건축주가 선정한 대지는 지척에 동해 바다를 두고 있었다. 산과 논이 주변을 둘러싸 시원한 바람도 잘 불었다. 그러면서 고요함도 가진 장점 가득한 매력적인 땅이었다.
우리는 도심 아파트에서는 경험하기 어려운 공간감과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1층과 2층이 틀어진 채 이루는 수직 동선은 이용자에게 새롭고 비일상적인 공간을 제공한다. 담장은 외부 시선으로부터 적절한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고 뒷마당과 테라스를 제공한다. 주변 여건을 고려해 높낮이에도 차이를 뒀기에 필요한 시야를 리듬감 있게 끌어온다.
불규칙적인 볼륨으로 공간을 설계하는 전략은 내부에서도 이어진다. 건물을 구성하는 스킵 플로어Skip Floor 형식을 채택했기 때문이다. 곳곳에서 사색하고 대화를 나누며 주변을 마주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각 공간에서 바라보는 다양한 뷰도 집을 더욱 풍성하게 즐길 수 있는 요소다. 바람이 부는 테라스에서는 풍광을 바라보며 휴식을 취할 수 있고 욕실에서는 천창을 통해 밤하늘의 별을 감상할 수도 있다.
정리 편집부 | 사진 김용수 작가(Suzakga)
우리는 도심 아파트에서는 경험하기 어려운 공간감과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1층과 2층이 틀어진 채 이루는 수직 동선은 이용자에게 새롭고 비일상적인 공간을 제공한다. 담장은 외부 시선으로부터 적절한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고 뒷마당과 테라스를 제공한다. 주변 여건을 고려해 높낮이에도 차이를 뒀기에 필요한 시야를 리듬감 있게 끌어온다.
불규칙적인 볼륨으로 공간을 설계하는 전략은 내부에서도 이어진다. 건물을 구성하는 스킵 플로어Skip Floor 형식을 채택했기 때문이다. 곳곳에서 사색하고 대화를 나누며 주변을 마주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각 공간에서 바라보는 다양한 뷰도 집을 더욱 풍성하게 즐길 수 있는 요소다. 바람이 부는 테라스에서는 풍광을 바라보며 휴식을 취할 수 있고 욕실에서는 천창을 통해 밤하늘의 별을 감상할 수도 있다.
정리 편집부 | 사진 김용수 작가(Suzakga)
HOUSE NOTE
위치 강원 고성군
건축구조 철근콘크리트조
대지면적 453.00㎡(137.03평)
건축면적 143.81㎡(43.50평)
연면적 189.18㎡(57.22평)
설계 기역니은건축사사무소
02-6408-4185 www.gngngn.co.kr
프룹(proof)
02-3144-6601 www.prf.co.kr
시공 건축주 직영
위치 강원 고성군
건축구조 철근콘크리트조
대지면적 453.00㎡(137.03평)
건축면적 143.81㎡(43.50평)
연면적 189.18㎡(57.22평)
설계 기역니은건축사사무소
02-6408-4185 www.gngngn.co.kr
프룹(proof)
02-3144-6601 www.prf.co.kr
시공 건축주 직영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