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제도 안 들어" 전이암 막막했는데…치료 단서 찾았다

정심교 기자 2025. 4. 7. 09:5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항암제에 내성 있는 전이암을 치료할 단서를 국내 의료진이 찾았다.

7일 연세대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박기청 교수, 강남세브란스병원 갑상선내분비외과 김석모 교수 연구팀은 "기존 항암제에 저항성을 보이는 전이암 환자의 암세포 조직을 통해 연구했더니 세포 속 SERCA 단백질을 차단했을 때 암세포 성장이 억제되고, 심장질환이 나타날 부작용도 줄이는 신물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심교의 내몸읽기]
이번 연구에 사용된 유두상 갑상선암(PTC) 세포주 표본들. /사진=해당 논문


항암제에 내성 있는 전이암을 치료할 단서를 국내 의료진이 찾았다. 전이암 치료를 위한 타깃 단백질은 억제하면서 기존의 심장 질환 부작용도 낮추는 신물질을 개발한 것이다.

7일 연세대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박기청 교수, 강남세브란스병원 갑상선내분비외과 김석모 교수 연구팀은 "기존 항암제에 저항성을 보이는 전이암 환자의 암세포 조직을 통해 연구했더니 세포 속 SERCA 단백질을 차단했을 때 암세포 성장이 억제되고, 심장질환이 나타날 부작용도 줄이는 신물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영국 약학저널(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IF 6.8) 최신호에 실렸다.

전이된 암세포는 기존 항암제에 저항성을 갖기 쉽다. 전이암에서 SERCA 단백질의 기능을 억제했을 때 항암 치료 효과가 올라가는 것으로 확인돼 'SERCA 단백질 억제'가 전이암 치료제의 화두로 떠올랐었다. 그러나 심장질환이 나타날 부작용이 있어 개발이 중단됐다.

SERCA 단백질은 SERCA 1·2·3 등 세 가지 아형으로 구성된다. 이 가운데 SERCA 2는 심장 근육의 이완·수축 기능을 담당한다. 기존에 개발된 SERCA 단백질 억제제는 아형 구분없이 SERCA 단백질 자체를 억제하기에 심장질환 부작용을 피할 수 없었다.

연구팀은 SERCA 2는 제외하고 항암제 내성 증가에 영향을 끼치는 SERCA 1만 타깃하기 위한 선택적 저해제 CKP 1·2 두 신물질을 개발했다. 약제 개발 협업은 미국 보스턴 소재 기업 CKP 테라퓨틱스(Therapeutics)와 함께했다.

연구팀은 개발한 두 신물질과 기존 표준 항암제인 '소라페닙'과 '렌바티닙' 약제의 치료 효과를 비교했다. 기존 표준 항암제로 치료받다가 전이된 암 환자의 조직에서 저항성을 보이는 전이 암세포를 분리했고, 이 중 SERCA 1 단백질이 증가한 부분을 활용해 마우스(쥐) 모델을 만들었다.

진행한 비교 연구에서 소라페닙과 렌바티닙을 투여한 부분에서는 항암효과가 없었으나, CKP 1·2 두 신물질을 소라페닙 또는 렌바티닙과 각각 병용 투여한 군에서는 종양 성장이 유의미하게 억제됐고 심장질환 부작용도 없었다.

이어 심장질환 부작용을 추가로 확인하기 위해 정상 마우스에 기존 SERCA 저해제인 '탑시가르긴'과 CKP 1·2 두 신물질을 각각 투여해 비교했다. 그 결과 탑시가르긴 투여 마우스에서는 개체 30%가 사망했으나, CKP 1·2 두 약제 투여군에서는 사망 개체가 없었다.

연구팀은 이러한 결과를 두고 CKP 1·2가 SERCA 1의 기능만을 선택적으로 저해하며 SERCA 2의 기능은 그대로 남겨둬 심장질환 부작용을 없앴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김석모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기존 항암제에 내성을 가진 전이암을 치료하는 건 물론 심장질환 부작용까지 잡을 수 있는 약제를 개발했다"고 말했다.

박기청 교수는 "난치성 암 치료를 위한 치료법을 향후에도 계속 진행할 것"이라며 "이번 연구 결과는 국내외 특허까지 얻어낸 만큼 향후 임상 연구, 신약 개발을 위한 후속 연구로도 이어질 것"이라 덧붙였다.

정심교 기자 simkyo@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