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능 유출 논란·주민 반대로 식수 공급 못해
시, 하수처리수 여과해 동부산 산단에 공급키로
2000억원이 투입된 부산시의 기장해수담수화시설이 방사능물질 유출 우려에 부딪혀 결국 공업용수 공급 시설로 전용된다.
기장해수담수화시설은 부산시가 추진한 대규모 정책사업이다. 하지만 안전성 논란과 지역 사회의 반대에 막혀 원래 목표인 수돗물 공급에 사용되지 못하게 된 것이다.
때문에 부산시의 대표적인 예산 낭비 사례로 기록될 뻔했다.
부산시는 2009년 2000억원을 들여 기장해수담수화 시설을 착공했으며, 2015년 준공했다. 국비 823억원, 시비 425억원, 민자 706억원 등 사업비만 1954억원이 투입됐다.
하지만 기장해수담수화 시설은 주민 반대에 부딪혀 7년째 가동이 중단됐다.
부산시는 바닷물을 역삼투압 여과 방식으로 하루 4만5000t의 수돗물을 생산해 기장군 5만 가구에 공급하려 했다. 하지만 시설 인근에 위치한 고리원자력발전소의 방사성 물질 유출을 우려한 주민의 반대로 제대로 가동하지 못했다.
부산시는 3년여간에 걸쳐 설득했지만 시민들의 반대로 수돗물 공급이 연기됐다. 결국 2018년 1월 결국 시설 가동을 중단했다.
부산시는 세금 2000억원을 들인 기장해수담수화 시설이 쓸모없는 고철로 전락했다는 시민단체의 비판이 쏟아지자 2019년 해수담수화 시설에서 생산하는 물을 먹는 물로 공급하는 방안을 포기했다.
부산시는 환경부 등과 함께 해수담수화 시설로 원전 주변 지역 산업시설에 공업용수나 산업용수로 공급하는 등 다양한 활용 방안 등을 고민했지만 수요 부족과 경제성 문제로 대안을 마련하지 못했다.
이후 환경부는 2022년 '기장 해수담수화시설 활용방안 연구용역'을 진행해 기장 해수담수화 시설로 주변 산업단지에 공업용수를 공급하고 남는 시설은 연구개발시설로 사용하는 방안 등을 검토했다.
하지만 800억원이 넘는 시설 개선 비용에 해수담수화 시설로 생산한 공업용수 생산 단가가 t당 1694원 달해 추진이 쉽지 않았다.
결국 부산시는 2024년 8월 동부산 산업단지 공급용수 공급방안 용역을 자체 진행하며 해수담수화 시설을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기장, 일광지역 하수처리수를 기장 해수담수화 시설로 보내 여과를 거친 뒤 동부산 산단에 공업용수로 활용하는 것.
부산시는 하수처리수를 재이용하는 것이라 하수도 요금이 100% 감면되고 낙동강 원수를 사용하지 않아 물이용부담금도 붙지 않아 공급단가를 t당 800원까지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동부산 산단 기업의 t당 2410원의 비싼 수돗물을 공업용수로 사용하고 있다.
부산시는 20년 공급계약 민간투자 방식(BTO)으로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사업비는 총 799억원이다. 국비 30%, 시비 10%를 제외한 나머지 470억원은 기업 부담하도록 한다는계획이다.
포항·청주 등에 전국 8곳에서 BTO 방식으로 하수처리수를 재이용하는 사례가 있고, 산단이라는 확실한 수요가 있어 사업자를 찾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 부산시 관계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