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소개
러닝, 마라톤, 트레일러닝 등 달리는 러닝에 대해 이야기 나누는 공간
매니저
후유리(wjstk231)
부매니저
부재중입니다.(runningcleanbot) 타꼬히끼박(khmljh) 알프스(uhk1028) 부재중입니다.(kurupat44) 런갤파딱1호(metaspee…)
개설일
2020-07-27
흥한갤
1
1
7
위
댓글 영역
이 글 요약1에 너무 많은 부분들이 생략되있음.
본문에도 있듯이 저기에서 표본으로 제시한 사람들도 페이스가 느리면 케이던스가 떨어지고 페이스가 빨라지면 케이던스도 오름
그런데 이제 막 시작한 초보들이 케이던스 150~160 이런 사람들이 케이던스를 180까지 올릴 수도 없거니와 그게 그 사람이 뛰는 현재페이스에서 효율적인 케이던스라고 할 수도 없음
주된 내용은 '바운딩을 하지말고 롤링을 하라는 것'이고, 결과론적으로 180spm을 추천한다는거지. 니가 말하는 것처럼 페이스에 따라 케이던스가 비례해서 변하지만 잭 다니엘스 영감님은 "페이스 상승률이 피치 상승률을 훨씬 웃돌았다."라고 하며 180spm을 추천해준거고.
초보자들은 천천히 달린다는 생각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바운딩을 하는 경우가 많거든. 180spm은 결과적인거고, 롤링을 하라는거지.
긍까 결국 갤에서 얘기하는 케이던스 180 안되내?케이던스 올려 <-이거 자체가 넌센스라는거임
7분 페이스 6분 30초 페이스 일캐 뛰는데 180으로 뛸 필요가 없는데도 말이지
나도 전적으로 동의해~ 180spm은 적어도 500페이스는 되야 적용이 가능하다고 생각해. 굥자도 430~500이 회복주 페이스인데 케이던스가 170~180대라고 했거든.
좋은 글 감사합니다 - dc App
선수들도 6분 조깅하면 160정도로 뛴다
선수들은 일단 롤링이 되는 사람들이니까~
꼭 180이라는 숫자에 집착할 필요는 없고 뭔가 기준점 정도로 적당히 생각하면 좋을듯요 좋은 정보추!
맞아~ 절대적 수치가 아니라 통계적인 추정치니까~
런갤러는 갤러리에서 권장하는 비회원 전용
갤닉네임입니다. (삭제 시 닉네임 등록 가능)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