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동원령 선포한 푸틴, 저항 덜한 중소도시에서 집중 충원 의혹

송진식 기자 2022. 9. 24. 14:5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1일(현지시간) 경찰이 수도 모스크바에서 열린 예비군 부분 동원령 반대 시위에 참가자를 체포하고 있다. 연합뉴스

동원령을 선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징집 저항이 덜한 중·소도시에서 병사를 충원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뉴욕타임스가 23일(현지시간) 보도한 내용을 보면 러시아 연방 소속인 ‘사하 자치공화국’ 출신인 사르다나 아브크센티에바 의원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마을 주민이 300명인데 남성 47명이 소집됐다. 이런 숫자가 나온 근거가 무엇인가”라며 동원령의 지역 편중문제를 비판했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사하공화국 내 사하족 단체는 푸틴 대통령에게 “인구가 희박한 야쿠티아 북부 지역에서 남성이 더 적어질 것”이라며 공개서한을 보내기도 했다.

시베리아 동부의 소수민족인 ‘유카기르족’ 지도자도 뉴욕타임스에 “순록 목축업자, 사냥꾼, 어부 등 사람이 많지도 않은데 대다수가 징집됐다”고 밝혔다. 유카기르족 인구는 약 1600명으로 알려져있다. 그는 “이미 7명이 소집통지를 받았다”며 “사냥꾼들이 집으로 돌아오면 수는 더 늘어날 것”이라고도 했다.

이에대해 군 동원령에 대한 저항이 심한 대도시보다는 저항이 덜한 중·소도시나 소수민족에게 동원령이 내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키릴 샤미에프 중앙유럽대학 교수는 “푸틴의 집권 연장을 위해 일부 농어촌·소도시에서 징집 비율을 크게 높였다”고 밝혔다.

러시아 모스크바 등 대도시에서는 군 동원령 선포 이후 이에 항의하는 시위가 일고있다. 시위대 진압 과정에서 시위대와 정부가 물리적으로 충돌하는 등 분위기도 날로 험악해지고 있다. 동원령 선포 후 러시아 전역에서 일어난 시위 과정에서 연행된 사람도 1000명을 넘어섰다.

징집을 피하기 위해 무비자 입국이 가능한 해외로 출국하거나 국경을 넘어 타국으로 피신하기 위한 차량행렬이 국경 지역에 이어지는 모습도 포착됐다.

송진식 기자 truejs@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