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랑상품권 사용처 제한…이용자 혼선·불편

오정현 2023. 9. 7. 07:5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전주] [앵커]

정부가 지역사랑상품권 사용처를 제한하는 지침을 내놨죠.

그런데, 이유로 든 영세 소상공인 보호는 현실적으로 효과를 거두기 어려운 구조에서 이용자들에게 혼선과 불편만 주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오정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익산의 한 농촌 마트.

면 지역에 하나뿐인 중소형 상점이지만, 지난달부터 지역사랑상품권을 받지 않고 있습니다.

["그거 해야지. 안 하면 불편하잖아, 시골에서…."]

난감하기는 마트 측도 마찬가지입니다.

[성종남/마트 점장 : "약간 당황스러운 게 있긴 한데, 오시는 분들 저희가 일일이 설명해 드리고 있고…."]

농촌 주민들이 주로 찾는 이 주유소에서도 불만이 터져 나옵니다.

[주유소 업주/음성변조 : "소비자 입장에서는 제일 부담 가는 게 기름값인데, 거기에서 10% 할인된 가격으로 쓸 수가 있었는데 지금은 그걸 못 쓰게 하니까…."]

행정안전부는 영세 소상공인 보호를 내세워 연 매출 30억 원이 넘는 사업장 등에 지역사랑상품권 사용을 제한하는 지침을 만들었습니다.

전북지역 가맹 사업장 8만여 곳 가운데 2천여 곳이 대상.

마트와 병원, 주유소 등 주민들이 자주 찾는 곳들은 물론, 상품권 이용률이 높은 곳들이 다수 포함돼 반발을 낳고 있습니다.

[오정곤/익산시 황등면 : "그런 혜택들이 있었는데 없어지니까 좀 안 좋은 부분이 있겠죠."]

지자체들은 지역사랑상품권 할인액의 4%가량인 정부 보조금을 포기해서라도 가맹 기준을 완화해야 할지 고심하고 있습니다.

[문성철/전라북도 일자리민생경제과장 : "시도가 자체 조례에 따라서 영업점을 조정할 수 있는 부분이 생기지 않을까 싶습니다. 내년에 보조금을 지급 안 받을 경우에는 이러한 부분들이 해제가 되지 않을까…."]

할인 헤택과 함께 지역 안에서 돈이 돌게 하는 선순환 경제 구조를 정부가 효과나 이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지 않고 불필요하게 틀어막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오정현입니다.

촬영기자:한문현

오정현 기자 (ohhh@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