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도산 우려가 현실로?... 자금난 겪는 건설사, 어디?

조회수 2023. 1. 10. 16:4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2011년 저축은행 영업정지 사태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에서 비롯됐던 것을 상기할 때 최근에 불거진 건설업계 자금경색은 경제와 산업계 전반이 예의주시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지난해 하반기 강원도 테마파크 레고랜드의 채무불이행 사태를 발단으로 건설채권금리가 급상승하면서 건설 구조조정 위험성이 수면 위로 드러났습니다. 

2010년대 초반 채권은행들의 대규모 건설업 구조조정과 대형 업체 인수·합병(M&A)이 다시 시작될 수 있다는 위기감이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공격적인 수주 활동으로 매출을 늘려온 업체들은 미청구공사가 눈덩이처럼 불어나 공사대금을 제대로 정산받기가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지난해 건설업계를 덮친 '줄도산 공포'가 올해도 이어질 수 있다는 어두운 전망이 나옵니다. 자금시장 경색으로 업계엔 먹구름이 드리워졌습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2022년 전해진 건설기업 줄도산 공포가 올해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됩니다. 

가파른 금리 인상에 따른 거래 부진과 함께 분양시장이 냉각된데다 김진태 강원도지사의 실기로 야기된 레고랜드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자금시장 경색 등 대형 악재마저 겹치면서 시장은 순식간에 식었고 업계엔 먹구름이 드리워졌습니다. 

아파트를 비롯해 부동산 전반에 걸친 가격 하락으로 사업의 경제성을 담보로 자금을 조달하는 PF 부실 가능성은 갈수록 커졌습니다. 

특히 PF 사업 수익성의 급락으로 금융권 PF 대출 부실 위험 우려가 커지면서 지방 중견건설업체를 중심으로 줄도산 우려가 현실화하는 게 아니냐는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2022년 종합건설업체 폐업 신고, 전년대비 34%↑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2022년 한해 5곳의 종합건설업체가 최종 부도 처리됐습니다. 

9월에 충남 종합건설업체 6위인 우석건설이 부도났고 경남 창원의 중견 종합건설업체인 동원건설산업이 두 차례 도래한 총 22억원의 어음을 결제하지 못해 결국 부도를 맞았습니다. 

2021년 매출액 500여억원을 올렸던 동원건설산업은 전국 시공능력 평가 순위 388위로 경남 업체 중에선 18위입니다. 

같은해 하반기에만 180건의 종합건설업체 폐업 신고가 접수됐습니다. 

이는 전년동기(135건)보다 34% 증가한 수치입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간한 '부동산 PF 위기 원인 진단과 정책적 대응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10월 국내 건설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40개 업체의 사업장 233곳 중 31곳(13.3%)이 공사 지연(22곳)이나 중단(9곳)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 사고 사업장의 1~2개월 내 조기 정상화 가능성에 대해선 해당 건설업체의 66%가 '매우 낮다'(44%)와 '낮다'(22%)고 답했습니다. 

'높다'는 응답은 6%에 그쳤습니다.

롯데건설 "대기업이어서 버틴다"

서울 서초구 잠원동에 위치한 롯데건설 본사. /사진=신유진 기자

줄도산 공포가 덮치면서 건설업체들은 불안에 떨고 있습니다. 

국내 시공능력평가(2022년 기준) 순위 8위인 롯데건설이 유동성 위기로 '부도설'에 휩싸인 것은 업계에도 큰 충격을 안겼습니다. 

그나마 롯데건설은 자산 규모 120조원으로 재계 순위 5위의 그룹 계열사들로부터 긴급 수혈을 받으면서 위기를 넘겼습니다. 

실제 롯데건설이 레고랜드발 단기자금시장 경색에 따라 자금조달 위기를 겪자 롯데케미칼(5000억원) 롯데정밀화학(3000억원) 롯데홈쇼핑(1000억원) 등을 비롯해 총 1조1000억원에 달하는 자금을 계열사로부터 수혈받았습니다.

중견그룹에선 기대하기 어려운 사례입니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롯데건설이 유동성 위기로 부도설까지 돌았지만 업계에선 롯데그룹 계열이어서 크게 걱정하지 않았다"며 "대기업이니 그런 상황에서도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던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정부의 잇단 규제완화책, 막힌 혈 뚫을까

고금리에 따른 분양시장 침체 심화로 미분양 공포가 커지면서 건설업체들의 자금줄이 되어줄 신규 분양에도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거래절벽에 업체들이 맥을 못 추면서 채무 상환에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정부가 수 차례에 걸쳐 규제완화책을 내놓았고 특히 지난 3일엔 위축된 주택 거래량을 늘리기 위해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을 규제지역에서 해제하는 등의 긴급 대책을 발표한 것이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지 시장은 숨죽여 지켜보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2년 11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2018년 12월 이후 4년 만에 최대 규모인 총 5만8072가구로 전월대비 22.9% 증가했습니다. 

미분양 증가 등 부동산시장 침체가 장기화 국면을 맞자 정부는 분주해졌습니다. 

국토부는 2023년도 업무보고를 통해 규제 해제 전 지역에 적용됐던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도를 전면 해제했습니다. 

수도권 전매제한 기간은 현행 10년에서 최대 3년으로 완화했고 수도권 분양가 상한제 주택 등에 적용되는 실거주 의무도 폐지했습니다. 

앞으론 분양가와 관계없이 모든 분양주택에서 중도금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분위기 반전을 희망하는 시장 반응도 나왔습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전매제한 완화로 장기간 매각이 어려웠던 주택들이 환금성 제약에서 자유로워졌고 실거주 의무 폐지로 대출 또는 실입주가 쉽지 않았던 일부 수요층은 임대차로 입주 잔금을 마련하거나 매각 등 퇴로가 열리게 됐다"고 말했습니다.

그럼에도 이번 대책이 현금 부자들에게만 혜택을 주고 정작 무주택 서민들은 소외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만만치 않습니다. 

특히 정부는 부동산 경착륙을 막겠다며 대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현재와 같이 고금리 상황에선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도 미지수란 의견도 여전합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