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은 잘 모르는 대학생 시절의 봉준호, 놀랍게도

조회수 2023. 10. 27. 17:58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대학생 봉준호가 만든 첫 단편영화, 마침내 공개
영화 '노란문'의 한 장면. 사진 왼쪽 첫 번째 인물이 대학생 봉준호 감독이다. 사진제공=넷플릭스

'기생충' 신화의 주인공.

지금 이 순간 한국영화를 거론할 때 가장 먼저 꼽히는 감독.

단 한번도 관객에 실망을 안긴적 없는 창작자.

끊임없는 탐구와 집요함으로 매번 세상을 놀라게 하는 영화인.

감독 봉준호를 설명하는 여러 수사들이다. 지금의 그를 있게 한 '영화광 대학생 봉준호'의 시절을 되짚는 다큐멘터리 영화가 시청자를 찾아온다. 27일 오후 4시 공개하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다큐멘터리 영화 '노란문: 시네필 다이어리'(감독 이혁래·제작 브로콜리픽쳐스)이다.

영화는 1990년대 초 시네필의 공동체였던 '노란문 영화 연구소'의 회원들이 30년만에 떠올리는 그 시대와 청년 봉준호의 첫 번째 단편영화 '루킹 포 파라이다이스'(Looking for Paradise)를 둘러싼 기억을 떠올리는 내용이다. 오직 영화에 빠져 살던 시네필들이 '영화에 미쳐 살았던 시간'을 돌이키는 작품이다.

'노란문: 세기말 다이어리'에 출연해 시네필 시절의 이야기를 풀어놓는 봉준호 감독. 사진제공=넷프릭스 

'루킹 포 파라다이스'가 탄생한 시기는 봉준호 감독은 물론 당시 함께 활동한 시네필들 역시 '영화를 직업으로 삼겠다'고 감히 엄두도 내지 못했던 시절이다. 인터넷도 없던 그때, 아날로그 VHS 비디오 장비만으로 영화를 공부하겠다고 모인 20대들의 피끓는 영화 애정이 곳곳에 담겼다.

제작진은 "학생 운동의 쇠퇴 이후 공허와 혼란 속에서 방황하던 세기말 20대들의 빈자리를 메운 건 문화였다"며 "그 중 가장 주목을 받은 게 영화였고 크고 작은 영화 모임이 만들어졌다"고 밝혔다. '노란문 영화 연구소' 역시 이 무렵 결성됐다.

연출을 맡은 이혁래 감독은 "세기말 시네필에 대한 거시적이고 객관적인 조망을 제시하기 보다 30년 전 영화에 미쳤던 젊은이들의 개인적인 기억과 주관적인 감정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다큐멘터리 영화 '노란문: 세기말 다이어리'의 한 장면. 사진제공=넷플릭스 ​

그렇다면 이번 다큐멘터리를 통해 봉준호의 미발표 단편영화 '루킹 포 파라다이스'를 확인할 수 있을까.

영화 팬의 호기심과 궁금증을 가장 자극하는 부분이다. 제작진은 1992년 '노란문' 개소식에서 단 한번 상영한 이후 그 누구도 보지 못했던 이 단편영화를 다큐멘터리를 통해 처음 공개한다.

이와 함께 봉준호 감독의 인터뷰를 비롯해 30년전 '노란문'에서 활동한 배우 안내상, 우현이 기억하는 당시의 이야기도 작품 안에 담겼다.

영화는 넷플릭스 공개에 앞서 이달 초 열린 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 와이드앵글-다큐멘터리 쇼케이스 부문에서 먼저 소개됐고, 부산 시네필들이 뽑은 '부산시네필상'을 수상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타임톡beta

해당 콘텐츠의 타임톡 서비스는
제공사 정책에 따라 제공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