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0년 온전히 버틴 꿀벌 미라 발견
에디터가 추천하는 스푸트니크 과거 인기 기사입니다.
벌집 안에서 미라가 된 채 3000년이 지난 꿀벌 수백 마리가 발견됐다.
포르투갈 리스본대학교 연구팀은 27일 공개한 조사 보고서에서 약 3000년 전 벌집 안에 갇혀 그대로 미라가 된 꿀벌 수백 마리를 공개했다.
미라 벌들이 든 벌집은 포르투갈 남서부 오데미라 지역 해안가에서 채취됐다. 연구팀은 인근에서 총 4개 그룹의 고생물 유적이 발굴된 점에서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분석 중이다.
조사 관계자는 "벌들이 살았던 3000년 전 포르투갈은 막 청동기시대가 끝나가던 때"라며 "벌들은 어떤 이유인지 벌집 속 방이나 고치에 든 상태로 집단으로 죽었고, 그대로 미라가 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벌들은 애벌레를 키우거나 꿀을 저장하는 육각형 방 안에 빈틈없이 차 있었다"며 "일반적으로 곤충의 외골격은 키틴질로 이뤄지는데, 죽은 후 바로 분해되므로 미라가 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연구팀 설명대로 상태가 양호한 벌집 화석이 나온 적은 있지만, 온전한 벌 미라가 대규모로 발굴된 사례는 포르투갈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 드물다.
조사 관계자는 "벌의 성별 구분이 가능할 만큼 미라 상태는 대체로 양호하다"며 "어미벌이 둥지 안에 먹이로 넣어두는 꽃가루의 양까지 측정 가능할 정도"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벌집의 주인은 지금도 포르투갈에 서식하는 꿀벌의 일종 수염줄벌의 동료로 확인됐다"며 "수염줄벌의 수명은 약 1년인데, 벌집 밖으로 돌아다니는 것은 꽃이 만발하는 몇 주간에 한정된다"고 전했다.
연구팀은 벌집 안쪽이 어미벌이 뽑아낸 비단 같은 실로 코팅된 점에 주목했다. 분석 결과 이 실은 방수 효과가 탁월해 벌들의 부패를 막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연구팀은 수백 개에 달하는 방에 들어찬 꿀벌들이 한꺼번에 죽어 미라가 된 이유가 불분명해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홍수나 가뭄으로 인한 집단 아사를 생각할 수 있지만 벌집 안에 꽃가루가 많고 먹이도 충분해 급격한 기후변화가 유력한 이유로 꼽힌다.
이윤서 기자 lys@sputnik.kr
Copyright © SPUTNIK(스푸트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