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잘 벌고 돈 많은 '네이버', 어쩌다 이렇게 삐걱거리게 됐나 f. 삼프로TV 이주호

조회수 2024. 6. 13. 13:46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네이버는 최근 시장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라인 사태와 같은 이슈로 인해 주목받고 있습니다. 검색광고와 쇼핑을 통해 매출의 60%를 차지하며, 영업이익률은 31%에 달합니다. 또한, 핀테크 서비스인 N페이도 6.7%의 이익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포시마크 인수를 통해 미국 시장에 진출했으며, 인수 당시 16억 달러를 지불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차입한 8억 달러를 보유 중인 투자 자산을 매각하여 상환하였고, 현재 순차입금이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현재의 수익성과 미래 성장 가능성을 동시에 갖춘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현재 5조 800억 원의 현금성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관계사 지분을 포함하면 총 17조 원 이상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어 자금 문제는 없다고 합니다. 그러나 네이버가 직면한 도전은 광고와 쇼핑 부문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광고 시장은 2.7% 성장에 그쳐 큰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고, 쇼핑 시장은 이미 포화 상태로 쿠팡과의 경쟁이 치열합니다. 도착보장 서비스를 강화하며 쿠팡의 고객을 유치하려는 전략을 펼치고 있지만, 이는 새로운 시장 개척보다는 기존 시장에서의 경쟁을 의미합니다. 반면, 리셀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주목할 만한 새로운 기회로 보입니다.

네이버는 최근 리셀 시장의 성장에 주목하며 다양한 플랫폼을 인수하고 있습니다. 일본 최대 한정판 거래 플랫폼인 스니커 덩크를 운영하는 소다를 인수하여 리셀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쇼폼 콘텐츠의 인기에 대응하기 위해 클립이라는 자체 쇼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에 밀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네이버는 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과의 연동을 종료하고, 공공기관 중심의 신뢰도 높은 검색 기능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변화가 사용자와 사용 시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

네이버와 라인의 분리된 구조와 그로 인한 지분법 이익의 영업 외 이익 반영에 대해 설명합니다. 네이버는 에이홀딩스의 지분 50%를 보유하고 있으며, 에이홀딩스는 제트홀딩스의 지분 63-65%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제트홀딩스는 라인을 소유하고 있어, 라인야후 사태로 인해 지분법 이익과 인프라 매출에 변동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라인은 2억 명의 사용자를 통해 새로운 사업을 시도하려던 시점이었으나, 야후 재팬이 구글의 검색 엔진을 사용하면서 네이버의 검색 엔진 도입이 지연되었습니다. 네이버 검색 엔진이 야후 재팬 테스트를 통과했지만, 초기 단계에서 기술료와 광고료 수익을 기대할 수 있었던 기회가 무산되었습니다.

네이버는 인공지능 분야에서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해왔습니다. 네이버는 삼성전자와 협력하여 전력 사용량이 적고 효율이 높은 인공지능 전용 반도체 '마하원'을 개발하려 했으나, 최근 삼성전자가 독자적으로 마하원 기술 검증을 완료하고 AI 가속기를 발표하면서 네이버가 소외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사우디 정부의 디지털 트윈 구축사업과 아람코 디지털과의 협력을 통해 소버린 AI 구축에 앞장서고 있으며, 각국의 언어별로 LLM을 구축하는 최신 트렌드에 부합합니다. 네이버는 LLM 모델을 제공하여 각국이 자국의 정보를 학습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네이버의 입지를 강화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