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쉬거나 쪼개기 알바"..코로나 풀려도 구직난 허덕이는 청년들

문가영,박나은,박홍주 2022. 9. 25. 17:5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할 의지조차 없는 '니트족'
6년새 54% 폭증해 35만6천명
부모나 정부 지원금으로 버텨
직장 다녀도 생활비 쪼들려
투잡 뛰는 청년도 18만명 급증
"규제 풀어 좋은 일자리 늘려야"
# 지방 국립대를 졸업한 이 모씨(30)는 3년 동안 근무했던 리조트 기업을 지난해 퇴사한 뒤 부모님과 함께 살고 있다. 고객을 응대하는 일을 오랫동안 하다 보니 스트레스가 많이 쌓여 건강이 나빠졌기 때문이다. 이씨는 퇴사한 뒤 주로 컴퓨터 게임을 하면서 시간을 보내고 있다. 그는 "자격증을 따 볼까 생각했지만 그렇다고 해도 예전 직장보다 조건이 좋은 곳은 없을 것 같다"며 "당분간 부모님과 함께 지내려고 한다"고 말했다.

# 서울 서대문구에 거주하는 직장인 서 모씨(27)는 퇴근하고 집에 돌아오면 2~3시간씩 자전거를 타면서 배달라이더로 일하고 있다. 올해 들어 음식 가격이 1만원에 육박해 '투잡'을 뛰지 않으면 생활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헬멧과 자전거, 보온가방은 중고거래 커뮤니티를 통해 저렴하게 구매했고, 주문은 배달 플랫폼에서 받는다. 서씨는 "저녁이 있는 삶도 돈 쓸 여유가 있어야 누릴 수 있는 것"이라며 "아예 허튼 데 돈 쓸 시간을 없앴다"고 말했다.

청년들의 취업난이 좀처럼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 가운데 니트족과 N잡러(2개 이상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가 함께 증가하고 있다.

고물가·저임금으로 이중고를 겪는 청년들이 아예 구직활동을 포기하거나 혹은 투잡·스리잡을 뛰면서 가까스로 생계를 이어가고 있다는 분석이다.

먼저 취업 교육도 받지 않고 구직활동도 단념한 니트족이 급증하고 있어 비상등이 켜졌다. 니트(NEET)족은 일하지 않고 일할 의지도 없는 청년 무직자를 뜻하는데, 구직을 아예 단념하고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일할 의지는 있으나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는 실업자와 구분된다.

25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20대 비경제활동인구 중 직업훈련이나 구직활동을 하지 않고 '쉬었다'고 답한 응답자는 35만6000명으로 나타났다. 2016년 8월(23만1000명)과 비교해 6년 새 12만5000명(54.1%)이나 폭증했다. 2018년(28만7000명)에 비해서도 크게 늘었다.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로 고용이 크게 악화하자 많은 청년이 구직을 단념하면서 한때 니트족이 43만7000명까지 치솟았는데, 사회적 거리 두기가 해제된 이후에도 여전히 니트족 비중이 두드러진다.

이는 생활물가가 크게 오른 반면 고용의 질은 정체되거나 악화하면서 청년층이 구직활동을 단념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일해도 많은 보수를 받기 힘들고 원하는 생활 수준을 달성할 수 없으니 취업을 포기하는 자포자기 상태에 돌입한다는 것이다. 지난달 20대 비경제활동인구는 222만9000여 명으로 6년 전과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니트족은 12만명 넘게 늘어난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양준석 가톨릭대 경제학과 교수는 "최근 청년 니트족이 증가한 것은 일하지 않아도 부모의 지원이나 각종 정부 지원금으로 어느 정도 버틸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며 코로나19로 늘어난 정부 지원금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니트족과 달리 직장이 있어도 고물가로 생활이 어려워지자 부업에 나서는 청년도 급증하고 있다. 직장이 있는 청년들 사이에서도 열악한 근로 조건으로 '투잡'과 '스리잡'이 일상화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15~29세 청년 취업자 중 부업을 보유한 자는 63만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2016년 5월(44만5000명)과 비교해선 18만5000명(41.5%) 늘어났다.

지난 3월 법인보험대리점 리치앤코가 오픈서베이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 MZ세대(1980~2000년대생) 직장인 가운데 85%가 N잡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보였고, 23%는 실제 N잡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상당수는 유튜브, 인스타그램, 블로그 등에서 '소셜 크리에이터'(20%)로 활동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씨처럼 배달업에 종사하는 이들(17%)도 상당수였다.

전문가들은 청년층 고통을 해소하려면 질 좋은 일자리를 제공하는 기업을 지원해 고용 질을 개선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니트족 문제를 해결하려면 새로운 기업들이 좋은 일자리를 제공하도록 해 좋은 일자리의 진입장벽을 낮춰야 한다"며 "대학 졸업 후 노동시장에서의 직업훈련에 더 많은 투자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가영 기자 / 박나은 기자 / 박홍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