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책임론? 한동훈 책임론? 尹-韓의 ‘독대 동상이몽’
‘한남동 라인 쇄신’ 주장한 韓, ‘여사 리스크’ 언급할 듯
재보선 패배 시 ‘여사’ 아닌 ‘與지도부 책임론’ 부상 가능성
(시사저널=박성의 기자)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의 독대가 확정되며 정치권의 시선은 테이블에 오를 의제에 집중되고 있다. 유력한 화두는 이른바 '김건희 여사 리스크'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 대표는 김 여사를 보좌하는 '비선 인사들의 퇴진'을 공식적으로 요구한 상태다. 다만 대통령실이 독대 일정을 10·16 재·보궐선거 이후에 잡기로 결정한 만큼, 선거 결과에 따라 독대의 분위기와 의제가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여사 라인 해체' 말한 韓…"인적 쇄신해야"
14일 정치권에 따르면, 윤 대통령과 한 대표가 다음 주 초에 독대하기로 결정했다. 정확한 일정은 발표되지 않았다. 대통령실과 한 대표 측은 10·16 재·보궐선거가 끝난 뒤에 일정 조율을 거치겠다고 밝혔다.
앞서 한 대표는 지난달 윤 대통령과 여당 지도부의 만찬을 앞두고 윤 대통령과 독대를 요청했으나 대통령실이 난색을 표하며 무산된 바 있다. 그러나 이후 '당정 갈등' 우려 등이 증폭되자 참모들이 윤 대통령에게 독대 필요성을 설명했고, 윤 대통령이 이를 수용한 것으로 전해진다.
한 대표 측은 '민생'을 이번 독대의 화두로 제시했다. 정치, 경제, 사회 전반을 포괄하는 현안에 대해 대통령과 허심탄회한 대화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한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독대 의제와 관련 "특별히 의제가 없기 때문에 민생과 민심에 관한 다양한 얘기들을 나눠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여권에선 이른바 '김건희 여사 리스크'가 이번 독대의 핵심 화두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최근 한 대표가 공식석상에서 수 차례에 걸쳐 김 여사를 둘러싼 '비선 논란' '사법리스크' 등에 대한 대통령실의 대처를 요구해왔기 때문이다. 한 대표는 지난 12일 부산 금정구청장 보궐선거 지원 유세 현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김 여사에 대한 국민의 우려와 걱정을 불식시키기 위해 대통령실의 인적 쇄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이날 '대통령실에 요구한 인적 쇄신은 김 여사 라인에 대한 정리를 말한 것인가'라는 기자들의 질문에 "(김 여사는) 공적 지위가 있는 사람이 아니다. 그런 라인은 존재하면 안 된다"라며 "그런 분의 라인이 존재한다고 국민이 오해하고 언론이 기정사실로 생각한다는 것 자체가 국정 신뢰를 위해 도움이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김 여사 논란을 향한 한 대표의 잇단 공개적 압박에 대해 친윤(친윤석열)계 등 당 일각에서 비판이 나오는 것에 대해선 "비판하실 만한 말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한 대표는 "중요한 이슈에 대해 여당 대표가 요청해서 대통령이 수용해 변화와 쇄신의 계기로 삼는다면 민심에 맞고 국민 신뢰를 회복하는 길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재보궐선거 패배 시 '韓 책임론' 되치기 가능성
변수는 독대 시점이다. 대통령실은 한 대표와의 독대를 재보궐선거 이후로 못 박았다. 여권에선 '선거의 스코어'에 따라 독대 분위기가 달라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특히 여당의 텃밭이라 불려온 부산 금정구청장 선거 결과가 관건이다. 해당 지역은 최근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과 민주당 후보가 오차범위 내 접전을 벌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약 부산 금정구청장 선거에서 민주당이 승리할 시, 친윤계를 중심으로 '한동훈 책임론'이 번질 가능성이 있다.
친한계에서도 이 같은 가능성을 우려하는 분위기가 읽힌다. 친한계로 분류되는 여권 한 핵심관계자는 "당과 정부의 위기를 불러온 게 '한동훈' 개인의 문제인가. 만약 이런 시각을 갖고 있는 사람이 있다면 민심을 읽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며 "독대는 '같이 살자'고 만드는 자리이지, 누구 하나를 위기에 빠뜨리기 위해 만드는 자리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반대로 금정과 인천 강화를 사수한다면 한 대표가 윤 대통령에게 용산의 인적 쇄신신과 기조 변화 등을 강하게 요구할 동력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윤 대통령이 한 대표의 요구를 전격 수용할 지는 미지수다. 만약 '윤-한 독대'가 빈손에 그칠 경우 당정갈등뿐 아니라 당내 계파 갈등도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