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식, 돌잔치, 회갑연 등 경조사에 참석할 때 축의금 봉투를 올바르게 작성하는 방법이 궁금하신가요? 축의금 봉투는 단순히 돈을 넣는 것이 아니라 예의를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어떤 봉투를 사용해야 하는지?
✅ 이름은 어떻게 써야 하는지?
✅ 돈을 넣는 방향과 접는 방법까지?
이번 글에서 축의금 봉투 작성법과 예절을 깔끔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축의금 봉투 기본 형식
🎯 기본적으로 봉투 앞면과 뒷면에 적을 내용이 다릅니다.
✅ [봉투 앞면] – 무엇을 적어야 할까?
✔️ “축의(祝儀)” 또는 “축하합니다”
✔️ “謹呈(근정)” → 공손하게 올린다는 의미
✔️ "祝 結婚" → 결혼식 전용 (돌잔치, 회갑연 등은 다른 표현 사용)
📌 예시
축의
축 결혼
축 화혼 (부부가 함께하는 의미)
결혼을 축하드립니다
謹呈 (근정)
✅ [봉투 뒷면] – 이름과 금액 작성
✔️ 왼쪽: 이름 (보낸 사람)
✔️ 오른쪽: 금액 (한자로 쓰는 것이 예의)
다만 근래는 금액은 굳이 안적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름만 기재하면 축의금을 세는 사람이 방명록과 대조하여 기재하기 때문입니다.
봉투 쓰는 예시 (실제 적용)
📌 결혼식 축의금 봉투 예시
📌 [앞면]
축 결혼, 祝結婚 ,謹呈
📌 [뒷면]
✔️ 왼쪽(보낸 사람): 김철수
✔️ 오른쪽(금액): 伍拾萬圓 (50만 원)
📌 [뒷면 작성 예시]
김철수 伍拾萬圓
📌 [친구 여러 명이 함께 내는 경우]
✔️ 대표자 한 명의 이름을 적고 "외 ○○명"
✔️ 또는 모든 이름을 적을 경우, 금액도 옆에 적어야 함
복사편집
김철수 외 2명 參拾萬圓
축의금 봉투에 돈 넣는 방법
🎯 돈을 넣을 때도 예의가 있습니다!
✅ 돈을 접지 않고, 깨끗한 새 지폐를 사용
✅ 지폐의 앞면(초상화가 있는 면)이 보이도록 넣기
✅ 초상화가 위쪽을 향하도록 정리
✅ 지폐는 큰 금액이 앞쪽으로 가도록 배열
📌 돈 넣는 순서 예시 (10만 원을 5만 원권으로 낼 경우)
✔️ 세종대왕(초상화)이 보이도록 두 장을 겹쳐서 넣기
✔️ 지폐가 구겨지지 않도록 반듯하게 정리
축의금 봉투의 종류와 선택 방법
✅ 기본 흰 봉투 – 가장 무난하고 격식을 차리는 봉투
✅ 금색/은색 봉투 – 화려한 분위기를 원할 때 사용 가능
✅ 한자나 "축의금"이 인쇄된 봉투 – 예식장에서 제공하는 경우 사용 가능
🚨 주의할 점
빨간색 봉투는 피하기 (조의금에 가까운 색)
편지봉투처럼 너무 얇은 것은 피하기
예식장에서 배포하는 봉투를 사용해도 무방
상황별 봉투 작성법
✅ 💒 결혼식 축의금
“축 결혼” 또는 “謹呈” 사용
신랑/신부와 친한 경우 이름 옆에 "드림" 추가 가능
✅ 🎂 돌잔치 축의금
“祝 돌잔치” 또는 “祝 周歲(주년)”
봉투 앞면에 “아기 이름”을 적는 경우도 있음
✅ 🎉 회갑연(칠순잔치) 축의금
“祝 회갑” 또는 “祝 華甲(화갑)”
✅ 🎊 개업식 축의금
“祝 開業(축 개업)”
✅ 💰 부조금(조의금)과 헷갈리지 않기
조의금 봉투는 "謹弔(근조)", "弔意(조의)" 등 사용
검은색 글씨로 쓰고, 돈은 접어서 넣음
축의금 봉투 작성 시 유의할 점
🚨 이름 필수! 익명으로 내지 않기
🚨 돈을 접지 않고 반듯하게 넣기
🚨 금액은 한자로 쓰는 것이 격식상 좋음
🚨 빨간색 봉투는 사용하지 않기
🚨 여러 명이 함께 낼 경우 대표 이름 + 외 ○○명
마무리
축의금 봉투는 단순한 돈 봉투가 아니라 예의를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봉투 앞면에는 "축 결혼" 또는 "謹呈"
✔️ 봉투 뒷면에는 "보낸 사람 이름 + 금액(한자로)"
✔️ 돈을 넣을 때는 새 지폐, 초상화가 위로 가도록
이제 어떤 경조사에서도 깔끔한 축의금 봉투를 준비할 수 있겠죠?
Copyright © 불펌금지by퓨름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