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으로 떠난 청년, 非수도권 청년보다 소득↑ 행복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비(非)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떠나 정착한 19~34세 청년들이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들보다 연간 총 소득이 709만 원 높지만 삶의 행복감은 0.16점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분석 결과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온 청년이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에 비해 취업자 비율이 6.1%포인트 높고, 연간 총 소득도 709만 원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통계청 통계개발원은 26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KOSTAT 통계플러스 2024년 가을호’를 발표했다.
통계플러스에서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과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의 삶의 질 비교’ 보고서는 19~34세 청년 974만1154명을 이동 경로(출생지→현재 거주지)에 따라 4개 집단으로 분류했다. 이 가운데 비수도권에서 태어나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과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을 주요 비교 대상으로 했다. 2020년 통계청의 인구총조사 표본과 2022년 국무조정실이 발표한 청년 삶 실태조사를 기반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온 청년이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에 비해 취업자 비율이 6.1%포인트 높고, 연간 총 소득도 709만 원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들은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보다 장시간 근로 경험이 더 높고 삶의 질 등이 더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 거주 청년은 비수도권에 정착한 청년보다 장시간 근로 경험이 8.3%포인트 더 높고 부채는 1733만 원 더 많았다. 1인당 주거 면적도 3.8m² 더 좁은 것으로 조사됐다.
뿐만 아니라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은 번아웃 경험 비율이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보다 12.3%포인트 더 높았으며 삶의 행복감도 0.16점 더 낮았다.
출산에 있어서도 수도권 청년들은 비수도권 청년보다 자녀 출산 의향은 4.2%포인트 더 낮았고, 실제 평균 총 출생아 수도 0.18명 더 적었다.
분석에 따르면 현재 청년 인구 절반 이상(54%)이 수도권에 살고 있었다. 전국 각지에서 태어난 청년 중 각각 20% 안팎이 수도권으로 옮겨왔다. 통계청은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이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보다 경제적 여건은 낫다”면서도 “삶의 행복감은 낮으므로 청년들이 나고 자란 곳에서 학업과 취업이 가능하도록 대안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한편 통계개발원은 이번 통계플러스에 ‘인구의 고령화와 감소 문제를 이민으로 해결할 수 있을까?’와 ‘인구 변화가 가져올 미래 사회의 모습’ 등의 내용도 함께 수록했다. 특히 ‘인구의 고령화와 감소 문제를 이민으로 해결할 수 있을까?’에서는 국제순이동을 100만 명으로 상향 조정해도 국내의 고령화 추세를 되돌릴 수 없으며, 인구 감소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이예지 동아닷컴 기자 leeyj@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민주-의협 ‘정부 뺀 협의체’ 논의…李 “정부 개방적으로 나와야”
- 귀국 尹, 마중나온 韓과 대화없이 악수만…24일 만찬 ‘갈등 분수령’
- ‘의료계 블랙리스트’ 작성 32명 중 30명은 의사…2명 의대생
- 檢, ‘文 前사위 특채 의혹’ 관련 前 청와대 행정관 27일 소환
- 곽노현, 진보 교육감 단일화 경선 탈락…강신만-정근식-홍제남 압축
- 이재명 사법리스크 재점화에…민주당 “법 왜곡죄 상정”
- “거짓말처럼” 하루만에 8.3도 뚝↓…불쑥 찾아온 가을
- 故장기표, 김문수에 “너부터 특권 내려놓으면 안되겠나”
- “연금개혁안 도입되면 75·85·95년생 150만원 더 낼 수도”
- “천석꾼 가세 기울었어도, 독립운동 아버지 원망은 이제 안 해요”[동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