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효율 사업과 자산 매각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는 롯데케미칼이 보유 중인 일본 소재기업 레조낙 지분을 매각했다.
28일 롯데케미칼은 2020년 매입한 레조낙 지분 4.9% 전부를 2750억원에 매각했다고 밝혔다. 롯데케미칼은 이번 지분 매각과 그간 확보한 배당금을 합쳐 약 800억원의 차익을 실현했다.
롯데케미칼 관계자는 "비핵심자산을 정리해 재무건전성을 제고하기 위해 레조낙 지분을 매각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롯데케미칼은 지난 6일 롯데케미칼 인도네시아 지분 49% 중 25%에 대해 주가수익스왑(Price Return Swap, 이하 PRS) 계약을 맺어 6500억원의 자금을 조달했다.
지난달에는 파키스탄 법인을 979억원에 매각했고, 최근 국내 비효율 기초화학 라인을 셧다운하는 등 고부가 사업구조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10월에는 미국 법인 지분 40% 활용해 확보한 6600억원을 더해 총 1조3000억원의 유동성을 마련했다.
석유화학 업황이 좋지 않지만 비효율 사업과 자산 매각을 통해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있다...이번 지분 매각 후에도 레조낙과의 사업 협력은 지속된다"
- 롯데케미칼 관계자 -
한편, 롯데는 사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롯데케미칼을 포함한 전 사업 분야에서 리스트럭처링을 추진 중이다.
호텔롯데와 부산롯데호텔은 지난 11일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와 롯데렌탈 지분 56.2%을 1조 5천 800억원에 매각하는 본계약을 체결했다. 지난달에는 롯데웰푸드 증평공장에 이어 코리아세븐 ATM 사업도 매각했다.
지난해 롯데쇼핑은 롯데마트 수원영통점과 롯데슈퍼 여의점 등 비효율 자산을 매각했고, 호텔롯데는 3300억원 규모의 L7 강남 바이 롯데 등 비효율 자산 매각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을 도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