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發 ‘제작비 인플레’… 흥행작 제작사도 “쇼트폼 갈아탈 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넷플릭스가 대규모 자본을 투입한 K콘텐츠들이 연일 글로벌 흥행 기록을 써내려 가고 있지만 콘텐츠 제작 단가가 급등하며 국내 제작사와 방송사, 플랫폼 사업자 생태계는 양극화에 내몰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본력을 갖춘 글로벌 OTT 등장 이후 시작된 '제작비 인플레이션'으로 국내 지상파·유료방송 사업자가 콘텐츠 확보 경쟁에서 뒤처지고, 수익 저하와 제작 감축 등 악순환이 이어지는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회당 제작비 11년새 10배 뛰어… 한국 ‘하청’ 생산기지화 우려 커져
업계 “한국 기업에만 모래주머니… 규제 역차별부터 해소해야” 목소리
● “드라마 포기, 구조조정 중”
2013년 한국 드라마의 평균 회당 제작비는 약 3억 원대였지만 올 들어 최대 10배인 30억 원 이상으로 뛰었다. 제작비 폭등은 국내 영상 콘텐츠 생태계의 근간을 크게 위협하고 있다. 자본력을 갖춘 글로벌 OTT 등장 이후 시작된 ‘제작비 인플레이션’으로 국내 지상파·유료방송 사업자가 콘텐츠 확보 경쟁에서 뒤처지고, 수익 저하와 제작 감축 등 악순환이 이어지는 것이다. 한국드라마제작사협회에 따르면 국내 드라마 제작 편수(방영 기준)는 2021년 총 116편에서 2022년 141편으로 늘었다가 지난해 123편으로 줄었다. 올해는 107편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지상파 3사와 종편을 포함한 방송사의 드라마 제작 편수는 2022년 93편에서 올해 70편으로 줄어든 반면, 넷플릭스는 2022년 12편에서 지난해와 올해 모두 14편으로 국내 방송사와 OTT를 통틀어 가장 많은 제작 편수를 기록했다.
● “넷플릭스에 없는 규제, 韓 업체만 적용 역차별”
무엇보다 미국 기업인 넷플릭스나 구글 유튜브는 피해가지만 한국 콘텐츠 업계에 적용되는 ‘규제 역차별’부터 해소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린다. 예를 들어 한국 인터넷TV(IPTV)나 OTT는 구독료 인상이나 약관 변경 때마다 규제 기관의 심의를 받아야 하고, 중간 광고 삽입에 대한 규정도 엄격하다. 반면 넷플릭스는 중도 해지 불가 등 글로벌 정책을 따르고 있다. 한 IPTV 업체 관계자는 “한국 기업만 모래주머니를 차고 뛰는 격”이라며 “각종 광고, 심의, 편성, 요금, 약관 관련 규제를 풀어주고 해외 플랫폼과 건강하게 경쟁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줘야 한다”고 했다. 이헌율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도 “프랑스 방송사업자들이 연합하여 설립한 토종 OTT인 살토(Salto)가 2년 만에 파산한 주요 원인으로 정부의 강력한 규제가 꼽힌다”며 규제 개혁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장은지 기자 jej@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배현진, 의원 단체채팅방서 추경호에 불만 표시…특별감찰관 관련
- [사설]‘필수의료 연봉 1, 2위’ ‘20년간 단계적 증원’… 분란 없는 이유
- [사설]尹 “돌 맞아도 간다”… 방향은 맞는 건지, 길은 있는 건지
- [사설]채용은 줄고 월급은 꽁꽁, 청년 ‘富의 사다리’ 붕괴 막아야
- [횡설수설/정임수]경보녀, 재창업, 신중년에게 ‘리스타트’ 기회를
- [오늘과 내일/장택동]국회가 헌재를 멈춰 세울 권한은 없다
- 국정원 “北병력 3000여명 러 이동…12월경 총 1만여명 파병 전망”
- 러 “북한 파병은 허위… 군사지원은 오히려 한국서” 주장
- 갑자기 아플 땐 대형병원으로? 병명 모를 땐 동네 응급실 찾으세요 [우리 동네 응급실]
- 檢 불기소 이유서에 “金여사, 시세조종 인지도 가담도 증거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