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이 전 세계 푸드업계의 트렌드로 자리잡은 지도 수년째. 몸에 좋은 슈퍼푸드와 건강기능식품이 넘쳐나는 때다. 특정 음식들을 지칭하며 건강상 효능이나 위해를 강조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이는 또 다른 불안을 조장하곤 한다. 지나치게 건강식품만 찾는다거나 건강에 해롭다고 여기는 식품은 피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역시 ‘병’이다. 건강한 식습관에 대한 과도한 강박관념을 오소렉시아 너보사(Orthorexia nervosa)라 한다. ‘건강식품 탐욕증’이다.
‘오소렉시아 너보사’는 1997년 미국 콜로라도주 외과의사인 스티븐 브래트만 박사가 고안한 용어다. 칼로리와 식재료의 성분 등을 과도하게 따지면서 식단을 제어하려는 습관을 말한다. 오소렉시아 너보사는 보다 날씬하고 마른 몸을 가지기 위해 먹고 마시는 것을 제한하는 거식증과 마찬가지로 현대인의 새로운 질병으로 꼽히고 있다.
특히 최근엔 슈퍼푸드 과잉에 디톡스, 로푸드, 글루텐 프리, 슈가 프리 등 먹거리에 대한 건강 정보가 넘쳐나며 부작용을 빚게 됐다. ‘스포츠&운동(Human Sport & Exercise)저널’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건강식품 탐욕증이 있는 사람은 인공색소, 화학조미료, 방부제, 잔류 농약, 유전자 조작 식품, 소금, 설탕 등에 대해 과도한 거부감이 있다. 건강한 음식만 먹어야 한다는 강박관념 때문에 외식이나 사회활동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이미지를 불러올 수 없습니다.
3. 운동성 식욕부진증(Anorexia athletica)
운동성 식욕부진증은 운동선수들에게서 나타난다. 강박적으로 운동을 하면서 식사량을 엄격하게 제한해 살이 찌지 않도록 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특히 칼로리 소모량에 강박 증상을 보인다.
이미지를 불러올 수 없습니다.
‘유럽식이장애(European Eating Disorders)저널’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운동성 식욕부진증이 있는 사람들은 다른 식이장애를 가진 사람들보다 자신의 체형과 체중에 불만을 가진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의 경우 하루만 운동을 하지 않아도 과도한 죄책감과 불안감을 느끼며 심지어 우울감, 짜증을 동반한다 .
이미지를 불러올 수 없습니다.
4. 당뇨 다식증(Diabulimia)
당뇨 다식증은 제1 당뇨병을 가진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섭식장애다. 인슐린 섭취를 강박적으로 제한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증상이다.
이미지를 불러올 수 없습니다.
‘당뇨 과학과 기술(Diabetes Science and Technology)저널’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제1형 당뇨가 있는 여성들은 그렇지 않은 여성들보다 식이장애가 나타날 확률이 2.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급격한 체중 감량 증상이 나타나고, 감염증이나 당뇨성 케토산증 위험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