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음식 어떻게 줄여? 일상속 실천 방법
조회수 2018. 1. 14. 08:30 수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건강을 위해 당분 줄이는 꿀팁
출처: 123rf
출처: 123rf
출처: 123rf
출처: 123rf
출처: 123rf
출처: 123rf
출처: 123rf
출처: 123rf
출처: 123rf
출처: 123rf
출처: 123rf
한국인의 당 섭취량은 우려할 만한 수준입니다.
2015년 한국인의 당류 섭취량은 61.4g으로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수준(50g)을 이미 넘어섰는데요.
이전에 비해 당 섭취량은 크게 늘고 있습니다.
단 음식을 많이 먹으면 비만과 당뇨병에 걸리기 쉬울뿐 아니라 각종 성인병과 질환에 걸릴 위험이 높아집니다.
모두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익숙해져버린 식습관에서
단 음식을 당장 줄이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죠.

그렇다고 높아진 당 섭취량을 그대로 방치해서도 안됩니다.
건강과 다이어트를 위해서라도 새해에는
당류 줄이기에 도전해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막연하거나 거창하게 당류를 줄인다는 다짐보다는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통해
하나하나 당류를 줄여나가는 것이 더욱 효율적입니다.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법 몇가지를 알려드릴께요.

1. 단 음료 줄이기
한국인의 당류 섭취를 높이는 주된 범인은 달달한 음료입니다. 달달한 음료만 줄여도 1일 당류 섭취량을 크게 줄일수 있는데요.
한국인의 당류 섭취를 높이는 주된 범인은 달달한 음료입니다. 달달한 음료만 줄여도 1일 당류 섭취량을 크게 줄일수 있는데요.
특히 매일 마시는 커피의 당류는 우리의 생각보다 높아요. 카페모카나 카라멜마끼아또 등 달콤한 커피를 줄이려는 노력이 우선입니다.
콜라나 커피 등 당분 음료를 규칙적으로 섭취하면 과체중과 비만을 유발한다는 제네바대학 연구결과도 있어요.
또한 당분 음료를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 정신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다는 영국의 연구도 있답니다.
또한 당분 음료를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 정신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다는 영국의 연구도 있답니다.
2. 간식으로 견과류나 과일 먹기
식사후 단 음식이 생각날때는 달콤한 음료대신 고소한 맛의
견과류나 천연 과일의 새콤한 맛을 즐기세요. 특히 견과류는 몸에 좋은 항산화 성분이나 각종 비타민이 풍부해 건강에 좋습니다.
식사후 단 음식이 생각날때는 달콤한 음료대신 고소한 맛의
견과류나 천연 과일의 새콤한 맛을 즐기세요. 특히 견과류는 몸에 좋은 항산화 성분이나 각종 비타민이 풍부해 건강에 좋습니다.
3. 20분 이상 걷기
그래도 단 음식이 머릿속에서 지워지지 않는다면 밖으로 나가 산책을 하세요. 오스트리아의 연구에 따르면 15분만 걸어도 설탕이 든 음식에 대한 욕구가 줄어든다고 합니다.
걷기를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유산소 운동도 되며 단맛의 유혹에서 조금 벗어날 수 있을 겁니다.
그래도 단 음식이 머릿속에서 지워지지 않는다면 밖으로 나가 산책을 하세요. 오스트리아의 연구에 따르면 15분만 걸어도 설탕이 든 음식에 대한 욕구가 줄어든다고 합니다.
걷기를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유산소 운동도 되며 단맛의 유혹에서 조금 벗어날 수 있을 겁니다.
4. 아침은 고단백 식사로
단 음식을 줄이려면 아침을 든든하게 챙겨먹는 습관을 들이세요. 특히 콩이나 두부 등 고단백 음식으로 아침식사를 하면 포만감이 유지되며, 혈당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단 음식을 줄이려면 아침을 든든하게 챙겨먹는 습관을 들이세요. 특히 콩이나 두부 등 고단백 음식으로 아침식사를 하면 포만감이 유지되며, 혈당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5. 식품 라벨 확인하기
마트에서 장을 볼때는 식품 포장지에 적혀있는 라벨을 꼼꼼하게 확인하세요. 총 열량은 얼마인지, 당류는 얼마나 들어있는지 등 영양성분을 비교한 후 구입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마트에서 장을 볼때는 식품 포장지에 적혀있는 라벨을 꼼꼼하게 확인하세요. 총 열량은 얼마인지, 당류는 얼마나 들어있는지 등 영양성분을 비교한 후 구입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6. 충분한 수면
잠을 잘 자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않을 경우 식욕이 높아지기 때문인데요. 특히 달거나 짭짤한 고열량의 음식을 찾게된다고 합니다.
잠을 잘 자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않을 경우 식욕이 높아지기 때문인데요. 특히 달거나 짭짤한 고열량의 음식을 찾게된다고 합니다.
7. 나만의 스트레스 해소법 찾기
스트레스 해소도 중요해요.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과자 등 단맛의 식품에 더 끌리게 되는데요. 설탕이 일시적으론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의 혈중 농도를 낮춰주지만 과다 섭취시 오히려 몸이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운동이나 명상 등으로 자신만의 스트레스 해소법을 찾는 것이 더 좋아요.
스트레스 해소도 중요해요.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과자 등 단맛의 식품에 더 끌리게 되는데요. 설탕이 일시적으론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의 혈중 농도를 낮춰주지만 과다 섭취시 오히려 몸이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운동이나 명상 등으로 자신만의 스트레스 해소법을 찾는 것이 더 좋아요.
단 음식 줄이기,
새해에는 작은 것부터 실천해보는 것이 어떨까요.
[리얼푸드=육성연 에디터]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