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매매가 서울보다 더 오른다"는 지역, 공급 부족의 무서운 현실

춘천 지역 아파트 가격이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3월 초까지 춘천 아파트 매매가는 0.4% 상승했으며, 이는 서울 평균 집값 상승률(0.35%)을 웃도는 수치다. 이러한 상승세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계속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춘천 집값 상승의 주요 원인

심각한 공급 부족 현상

춘천 지역 아파트 가격 상승의 가장 큰 원인은 공급 부족으로 분석된다. 부동산 빅데이터플랫폼 아실 집계에 따르면 2027년까지 3년간 춘천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1582가구로, 한 해 적정 수요인 1430가구를 겨우 넘기는 수준이다.

최근 3년(2022~2024년)간 춘천 아파트 입주 물량은 3894가구에 불과했다. 이는 원주(5863가구)는 물론 춘천(28만 명)보다 인구가 8만 명 적은 강릉(4646가구)에 비해서도 적은 수치다. 향후 3년(2025~2027년)간 입주 예정 물량도 춘천이 3161가구로 원주(9617가구), 강릉(3406가구) 등에 비해 많지 않은 상황이다.

주민등록 인구와 비교해도 춘천은 공급이 확연히 적다. 최근 5년간 춘천(28만5664명)은 69.8명당 아파트 1가구가 공급된 반면, 원주(36만2159명)는 26.5명당, 강릉(20만7543명)은 31.7명당, 속초(8만754명)는 22.8명당 신축 아파트 1가구가 공급됐다.

실수요자 중심의 수요 지속

춘천은 도청 소재지이면서 대학이 밀집한 도시 특성상 주민등록을 이전하지 않고 실거주하는 생활 인구도 많아 다른 지역과 비교해 신축 아파트 수요가 더 높다. 특히 주중에는 춘천에서 생활하고 주말에 가족이 있는 집으로 돌아가는 공공기관 직장인들의 아파트 주거 수요도 상당하다.

온의동 A공인 관계자는 "인구 유입은 많지 않지만 신혼부부 등 새 아파트를 원하는 수요가 많다"며 "공급은 원주에 비해 턱없이 부족해 집값이 잘 내려가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신고가 거래 사례 증가

공급 부족 현상은 매매가뿐 아니라 전셋값을 끌어올리고 있으며, 이는 실거주자의 매수세를 자극해 신고가 행진으로 이어지고 있다.

춘천 온의동 춘천센트럴파크푸르지오 전용면적 59㎡는 2025년 2월 25일 4억4000만원(7층)에 거래돼 2024년 12월보다 1000만원 올랐다. 퇴계동 남춘천휴먼시아1단지 전용 101㎡도 2025년 2월 최고가인 4억4000만원(10층)에 손바뀜했다. 또한 퇴계동 남춘천휴먼시아1단지 전용면적 101㎡는 2025년 2월 18일 신고가인 4억4000만 원에 거래됐다.

전세 시장에서도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2025년 2월 26일 여주시 교동 여주역우남퍼스트빌에서는 전용 59㎡가 신고가인 2억6500만 원에 전세 거래됐다.

교통 호재와 지리적 이점

춘천은 서울과 가깝고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노선 연장이 추진되는 점도 집값을 떠받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GTX-A 노선의 개통 이후 파주 운정중앙역 인근 아파트 가격이 상승한 사례를 볼 때, 춘천도 향후 GTX 노선 연장이 실현될 경우 추가적인 가격 상승 요인이 될 수 있다.

온의동 B공인 관계자는 "춘천은 수도권과 가깝고 교통 호재도 많다"며 "속초 및 강릉과는 집값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지방 부동산 시장과의 차별화

전반적인 지방 부동산 시장이 시세 하락과 악성 미분양 적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춘천과 울산시 등 일부 지역은 신고가 행진이 이어지는 등 지역별로 확연히 다른 온도 차가 감지되고 있다.

춘천 아파트 가격은 지난해에도 3.94% 올라 원주(1.52%), 강릉(-6.15%), 속초(-2.74%) 등을 크게 앞섰다. 2020년 이후 속초와 강릉 집값이 단기간에 급등하는 동안 춘천은 상대적으로 상승 폭이 크지 않았던 점도 집값이 빨리 안정을 찾은 요인으로 풀이된다.

향후 전망

건설 경기 침체에 따른 신축 아파트 공급 부족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적정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한 지역에서 국지적인 공급 절벽 사태가 벌어지는 양상이다. 춘천의 경우 공급 부족 현상이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려운 상황이므로, 당분간 아파트 가격의 상승세는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다만 최근 부동산 시장은 실수요자 위주로 형성되고 있어 가격 상승에 일정 부분 제한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정부의 주택 공급 정책과 금리 변동, 경기 상황 등이 춘천 아파트 시장에 영향을 미칠 주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

Copyright © 저작권 보호를 받는 본 콘텐츠는 카카오의 운영지침을 준수합니다.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