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것도?" 시중은행들의 부동산 임대 수익만 무려...

"이런 것도 해?" 시중은행 부동산 임대 수익이 무려..

4대 시중은행 투자부동산
2년 새 200억가량 증가해
지난해 약 800억 수익 내

최근 디지털 금융이 발전하면서 시중은행의 점포 수가 줄어드는 가운데 은행은 보유한 유휴부동산을 통해 벌어들이는 임대 수익이 지속 늘어나고 있어 이목이 쏠리는 상황이다. 특히 가장 많은 임대수익을 기록한 시중은행은 350억 원 수준의 수익을 내는 것으로 확인됐다.

은행 영업점 축소를 둘러싸고 고령층, 외지에 거주하는 이 등 취약계층의 이용 불편 등 잡음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시중은행은 점포 수를 지속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은행은 디지털 전환을 비롯해 효율 극대화 차원에서 점포 수 정리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출처: 뉴스1

올해 1월 기준 금융감독원 금융통계 정보시스템에 공시된 내용에 따르면 지난해(2023년) 9월 말 기준 5대 시중은행인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의 점포 수는 3,931개로 집계됐다. 이는 출장소를 포함한 수로 지난 2019년 말 4,661개 대비 약 15.7% 감소한 수치다.

은행권의 점포 수 감소세는 코로나19 팬데믹이 닥친 2020년부터 줄곧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점포 수뿐만 아니라 주로 고령층이 자주 이용하는 자동화기기 또한 사라지는 추세로 나타났다.

출처: 뉴스1

지난해(2023년) 6월 말 기준 KB국민은행의 자동화기기 수는 5,627대로 집계됐다. 점포 수보다 매우 많은 수를 자랑하지만, 이 또한 대폭 감소한 것이다. 앞서 KB국민은행은 2019년 6월 말 자동화기기 8,495개를 보유했다. 해당 은행은 4년 만에 자동화기기 수가 33.8% 대폭 감소한 것이다.

올해에도 은행권은 지점 폐쇄 혹은 통폐합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시중은행에 한 관계자는 “분기별로 살펴보면 점포 수가 전 분기 대비 늘어난 경우도 있다”라면서도 “연 단위로 봤을 때는 줄어드는 추세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다른 지점 대비 고객 방문 수가 적은 점포를 줄이는 건 영리를 추구하는 기업의 시각에서는 당연하다”라고 설명했다.

출처: 뉴스1

한편 시중은행은 보유한 점포 수를 대폭 줄이는 추세지만 부동산을 통한 임대수익은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4대 시중은행(우리은행·신한은행·KB국민은행·하나은행)이 보유한 투자부동산 규모는 전년과 비슷한 수치를 보였지만 임대 수익성을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한 전문가는 “부동산 시장 침체 등의 영향으로 자산 규모를 크게 늘릴 수는 없었을 것이다”라면서도 “임대 제한 규제가 느슨해지면서 이를 통한 수익 다변화를 통해 은행이 어느 정도 효과를 본 것 같다”라고 설명했다.

출처: 뉴스1

올해 초 금융감독원이 공시한 내용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이 보유한 투자부동산의 장부금액은 2조 2,407억 원이다. 이는 전년 2조 2,182억 원 대비 1.01% 소폭 증가한 것이다. 투자부동산이란 임대수익 등을 통해 시세차익을 얻기 위해 보유하는 부동산을 뜻한다.

각 은행의 사업보고서 등에 따르면 지난해 4대 시중은행이 보유한 부동산을 통해 거둬들인 임대수익은 총 825억 9,400만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수익 768억 8,800만 원보다 약 57억 원 증가한 것이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 2021년만 해도 시중은행의 임대수익은 약 600억 원 규모로 전해진다.

2년 만에 약 200억가량이 증가한 셈이다. 이는 본래 은행은 당사가 보유한 영업점 건물의 임대 가능하나 면적이 사용 면적의 1배 이내였지만 이런 제한이 9배로 완화되면서 수익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콘텐츠는
카카오의 운영 지침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