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일 밤 8시 퇴근, 2주 연속 연차?” 고용부 가상 근무표에 직장인 분통

홍인기 2023. 3. 16. 18:1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용노동부가 근로시간 유연화에 따른 오해를 풀겠다며 가상의 시간표를 올렸다가 직장인들의 공감을 사기는커녕 오히려 역풍을 맞고 있다.

총 4주의 시간표 가운데 2주 연속 토요일(주 6일)까지 일한 뒤 추가 근무를 휴가로 보상받아 그다음 주부터는 '주 3일', '주 4일'만 일한다는 정부 구상은 휴가 사용이 어려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69시간 근무표는 근로시간 개편안이 시행돼 최대 주 69시간 노동할 경우를 가정한 가상의 직장인 일과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역풍 부른 근로시간 카드뉴스
월~토 10시간 일해야 62시간 맞춰
“69시간 아닌데도 상상초월 빡빡”
“정부가 토요일 근무 권장해 놀라”

고용노동부가 근로시간 유연화에 따른 오해를 풀겠다며 가상의 시간표를 올렸다가 직장인들의 공감을 사기는커녕 오히려 역풍을 맞고 있다. 총 4주의 시간표 가운데 2주 연속 토요일(주 6일)까지 일한 뒤 추가 근무를 휴가로 보상받아 그다음 주부터는 ‘주 3일’, ‘주 4일’만 일한다는 정부 구상은 휴가 사용이 어려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고용부는 지난 13일 페이스북에 ‘69시간 근무표, 이게 진짜야? 근로시간 제도 개편 제대로 알려 드립니다’는 제목의 카드뉴스를 올렸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중심으로 확산되는 ‘기절의 69시간 근무표’를 반박하는 내용이었다. 69시간 근무표는 근로시간 개편안이 시행돼 최대 주 69시간 노동할 경우를 가정한 가상의 직장인 일과표다. 월~금요일 매일 오전 9시에 출근해 새벽 1시까지 근무하고, 주말에는 ‘기절’, ‘병원’이 일과표에 포함돼 있다. 이 역시 극단적인 근무표이지만 주 5일 야근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점에서 직장인들의 호응이 뜨거웠다.

이에 고용부는 가상의 시간표를 제시했다. 첫째 주 월~토요일 출근해 주 62시간 근무하고, 둘째 주 역시 월~토요일 출근해 53시간 일한다. 셋째 주 목요일과 금요일은 ‘근로시간저축계좌’ 휴가를 사용하고, 마지막 주 금요일도 하루 휴가를 낸다는 내용이다.

댓글이 아예 없거나 10개 이하인 다른 게시물과 달리 이 게시물에는 ‘고용부만의 상상 근무시간표’, ‘덜 빡빡한 것처럼 보이려고 69시간이 아닌 62시간으로 시간표 만들었네’ 등 비판 댓글이 100개 넘게 달렸다.

직장인 우모(38)씨는 16일 “불가피하다고 했지만 고용부 사례에서 토요일 근무를 권장했다는 게 놀라웠다”며 “하루 연차 쓰는 것도 온갖 눈치를 다 봐야 하는데 2주 연속 연차를 사용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최성수(33)씨는 “첫째 주와 둘째 주 시간표는 바로 시행되겠지만, 셋째 주와 넷째 주 시간표는 도입이 불가능할 것 같다”며 씁쓸해했다.

홍인기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