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필품 회사 유한킴벌리는 왜 40년 동안 숲을 지키는 캠페인을 이어왔을까

무제한 구독 서비스, 한달에 얼마나 이용하시나요? 꾸준히 보는 습관이 잡히지 않는다면, 롱블랙이 러닝메 이트가 되어 드릴게요. '24시간이 지나면 사라지는 오늘의 노트'에서 매일 하루 10분의 인사이트를 채워보세요!

유한킴벌리의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 캠페인이 40주년을 맞았습니다. 1984년부터 숲의 가치를 알려 온, 국내 최장수 숲·환경 공익 캠페인입니다.

지금까지 이 회사가 심고 가꾼 나무는 모두 5700만여 그루. 국내외 1277곳에 크고 작은 숲을 만들고, 가꾸고, 알렸습니다.

ⓒ유한킴벌리
ⓒ유한킴벌리

유한킴벌리, 원래 생활용품을 만드는 회사예요. 미용티슈 크리넥스와 기저귀 하기스로 유명하죠.

시민단체도 아닌데, 왜 40년 넘게 이런 캠페인을 이어온 걸까요?

유한킴벌리의 ESG 전문가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Chapter 1.숲이 삶의 수준을 바꾼다는 믿음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 캠페인을 처음 시작한 이는 문국현 전 유한킴벌리 대표예요. 1974년 유한킴벌리에 신입사원으로 입사했죠.

그는 1982년 떠난 호주 연수에서 숲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호주는 곳곳에 숲이 울창했고, 숲을 지키려는 사회의 노력이 대단했대요.

한국에 돌아온 그는, “숲이 훌륭해야 국민 삶의 질도 높아진다”고 이야기하기 시작했어요.

“어딜 가든 잘 가꿔진 숲을 볼 수 있었죠. 경제뿐 아니라 환경에서도 선진국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_문국현 전 유한킴벌리 대표이사 사장,

문득 궁금해집니다. 숲의 중요성을 깨달은 것과, 민간 회사가 돈과 시간을 들여 나무를 심는 것은 좀 다른 이야기가 아닌가요?

유일한 박사의 사명에 끌려 유한양행의 계열사에 입사한, 문국현 전 대표의 생각은 달랐나 봐요.

“환경 문제를 고민하다가, 한국의 물 문제뿐 아니라 산림 복구도 나라에만 맡길 일이 아니라, 시민과 기업이 같이 바꾸면, 성과가 빠를 것이라는 결론에 이르렀지요.”

_문국현 전 유한킴벌리 대표이사 사장

유한킴벌리는 숲을 만들기 위해 돈을 모으기 시작합니다. 2년 동안 크리넥스 미용티슈 매출의 1%를 떼어 모았어요.

캠페인 시작 1년 전부터 정부를 설득했죠. 기업이 나라의 땅에 나무를 심는 일, 당시엔 낯설었기 때문이에요.

1년의 설득 끝에야 “국·공유지에 숲을 만들어도 좋다”는 허락이 떨어집니다. 1984년 11월, 산림청과 유한킴벌리의 첫 회의가 열렸습니다.

이듬해 4월, 충북 제천 백운면 화당리의 야트막한 민둥산에 잣나무 1만2000 그루가 뿌리를 내렸습니다. 유한킴벌리가 만든 첫 번째 숲이에요.

유한킴벌리가 2003년부터 나무를 심고 가꾸기 시작한 몽골의 토진나르스. 총 1278만 그루의 나무를 심어, 울창한 숲이 되었다. ⓒ유한킴벌리

첫 숲을 만든 뒤에도 쉽지 않았습니다. 처음에 유한킴벌리는 나무심기 기부금을 전달할 때마다 세금을 추가로 내야 했어요.

민간이 정부에 기금을 내는 일이 흔치 않아, 비용 처리가 되지 않았기 때문이래요.

그럼에도 계속 나무를 심고 가꿨습니다. 매년 약 150만 그루씩, 세금을 내가며 9년을요. 1994년, 김영삼 대통령 시절에야 유한킴벌리는 비로소 기금에 대해 면세 처리를 받습니다.

캠페인이 공익 활동으로 인정받은 거예요. 그때까지 심고 가꾼 나무는 약 1350만 그루였습니다.


Chapter2. 풀 한 포기, 나무 한 그루도 숲이다

숲을 만들고 가꾼다는 일. 시대가 변하면서 유연하게 모습을 바꾸었어요.

캠페인 초기엔 나무심기가 중요했어요. 국토 곳곳이 민둥산이었으니까요.

유한킴벌리는 1985년부터 신혼부부 나무심기 캠페인을 해 왔어요. 1988년엔 청소년들이 숲 체험을 하며 자연의 소중함을 배우는 ‘그린캠프’를 운영했죠.

2000년 전후론 멀리 있는 숲만 찾아가지는 않았어요. 많은 산이 이미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었거든요.

유한킴벌리는 대신 숲을 도시로 데려옵니다.

1999년 시작된 ‘학교숲’ 캠페인을 볼까요. 한국의 교정은 일제 시대의 연병장을 닮았어요. 네모반듯한 운동장 귀퉁이에 작은 정원이 전부죠.

유한킴벌리는 학교 담장을 허물고 숲을 만들기 시작했어요. 산의 능선처럼 제각기 높이 다른 나무들이 편안하게 학교를 감쌌습니다.

지금까지 738곳의 학교에 숲이 들어섰어요.

서울 성북구 석관동 주차장 자리에 들어선 ‘우리동네 숲 1호’를 볼까요. 가을에 열매를 맺는 스트로브잣나무가 뿌리를 내렸습니다.

1호 학교숲인 서울 노원구의 화랑초등학교 ⓒ유한킴벌리

우리 동네의 학교와 자투리땅에 숲이 들어서는 일. 숲과 사람의 공존을 추구하는 노력입니다.

“멀리 있는 숲은 낯설고 때로는 무서운 존재예요. 동화책 속 숲은 밤이면 도깨비가 나오는 곳으로 묘사되니까요.

우리는 숲이 더 가까이 와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나무는 늘 가까이에서 사람을 지켜주고, 사람은 그 나무를 지켜줘야 한다고요.”

_최찬순 유한킴벌리 수석부장

Chapter3. 정적인 캠페인의 내부는 시끄럽다

40년을 지속해 온 캠페인. 비결은 의외로 시의성을 고민하는 노력이었습니다.

“일관성 있다는 것이 바뀌지 않는다는 뜻은 아니예요. 오히려 역동적인 변화가 필요해요. 그래야 지루해지지 않고, 꾸준히 관심을 받을 수 있으니까요.”

_전양숙 유한킴벌리 본부장

2022년부터는 ‘자생식물 꿀벌숲’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시민단체 ‘평화의숲’과 함께요. 기후 변화로 꿀벌이 사라지고 있다는 게 이 사업을 고민하게 된 이유입니다.

우리가 먹는 식량 작물의 약 60%는 꿀벌 덕에 열매를 맺어요. 꿀벌이 사라지면 생태계 전체가 무너질 수 있는 거죠.

꿀벌숲에는 꿀벌이 좋아하는 나무들을 심고 있어요. 쉬나무와 헛개나무, 상수리나무와 낙엽송처럼요.

주변의 풀을 없애고, 칡넝쿨을 제때 뽑아줘야 하는 품이 많이 드는 일입니다.

“숲은 모든 환경 문제와 연결돼 있어요. 우리는 지금 시대가 필요로 하는 이야기를, 숲을 통해 하는 거예요. 나무심기, 생물 다양성, 학교 폭력과 기후변화까지...

시대가 요구하는 이야기를 숲을 통해 전하는 것이 40년 동안 계속 다른 메시지를 전할 수 있었던 비결이에요.”

_손승우 유한킴벌리 지속가능경영부문장

Chapter 4. 반성 뒤 그린 다음 40년, “고맙숲니다”

2023년 4월엔, 서울 도심의 대형 전광판에 커다란 반성문이 걸렸습니다.

선명한 녹색 바탕에 굵은 검정 글씨. 제목은 단순했어요.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 39주년 반성문’.

ⓒ유한킴벌리

그 아래 반성문을 읽어볼까요.

“우리는 끔찍한 산불의 후유증에 대해 잘 알고 있음에도, 잘 알리지는 못했습니다. 이제 좀 더 소리 내어 알리겠습니다."
“대전 대덕구 추동리의 잣나무숲에 이제야 미안한 마음을 전합니다. 1987년 심은 우리의 3호숲. 우리가 심었지만, 제대로 가꾸지 못해 잃어버린 잣나무숲에게 사과합니다.”

반성문엔 ‘앞으로 더 잘 해내겠다’는 마음을 담으려 노력했대요.

40주년을 한해 앞두고, 자랑하고 싶은 마음을 누르고 더 잘하려면 무엇을 해야 할지를 찾은 겁니다.

“내부에서 늘 하는 이야기가 있어요. ‘영업은 오늘의 양식이다. 마케팅은 내일의 양식이다. PR은 미래의 양식을 구하는 일이다.’

우리가 어떤 자세로 미래를 준비하고 있는지를 낮은 자세로 솔직하게 알리는 것이 가장 좋은 PR이라고 생각합니다.”

_최찬순 유한킴벌리 수석부장

유한킴벌리의 40주년 기념 캠페인 제목은 “고맙숲니다”예요.

한번 보고 말 사이면 감사 인사를 하지도 않겠죠. 유한킴벌리의 이 인사는 “앞으로도 잘 부탁드린다”는 메시지를 품고 있다고 해요.

“결코 우리 회사가 잘해서 40년을 이어온 게 아니거든요. 함께 해 준 시민과 시민단체, 정부 덕분에 캠페인을 이어올 수 있었어요.

지난해의 반성문이 과거에 대한 이야기였다면, 감사는 현재의 마음이죠. 앞으로 나아갈 미래를 고민하기에 가장 좋은 키워드라고 생각했습니다.”

_전양숙 유한킴벌리 본부장

유한킴벌리의 이야기 어떠셨나요?

저도 오늘은 동네 골목을 걷다가 나무를 유심히 살펴보게 될 것 같습니다. 숲을 만드는 마음을 생각하면서요.

숲을 지키는 유한킴벌리의 노력, 더 자세한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에서 무료로 읽어보세요!

이 콘텐츠는 유한킴벌리의 지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지식토스트_프리미엄 #롱블랙 #비즈니스 #유한킴벌리 #우리강산푸르게푸르게 #캠페인 #공익 #숲 #esg #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