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규 회고록 파장…"盧 궁지 때 文 없었다" vs "거짓 주장과 파렴치"(종합)

문창석 기자 정재민 기자 2023. 3. 17. 18: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수사를 맡은 이인규 전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장의 '회고록'을 두고 17일 야권은 물론 노무현재단까지 참전해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이 전 부장은 노 전 대통령의 뇌물 혐의는 모두 사실이라며 서거 책임 상당 부분을 당시 변호인이었던 문재인 전 대통령에게 돌렸다.

이 전 부장은 당시 노 전 대통령의 변호인이었던 문재인 전 대통령의 '무능과 무책임'이 노 전 대통령의 서거를 막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인규 "盧 뇌물 혐의 모두 사실…文, 거짓 제단 쌓아 대통령 돼"
민주 "정치 검사의 일방적 주장" 노무현재단 "2차 가해, 강력유감"
'나는 대한민국 검사였다'(조갑제닷컴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제공) ⓒ 뉴스1

(서울=뉴스1) 문창석 정재민 기자 =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수사를 맡은 이인규 전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장의 '회고록'을 두고 17일 야권은 물론 노무현재단까지 참전해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이 전 부장은 노 전 대통령의 뇌물 혐의는 모두 사실이라며 서거 책임 상당 부분을 당시 변호인이었던 문재인 전 대통령에게 돌렸다. 반면 야권과 노무현재단은 이 전 부장의 일방적인 주장이라며 비판했다.

이날 정치권과 법조계에 따르면 이 전 부장은 오는 24일 '나는 대한민국 검사였다. 누가 노무현을 죽였나' 회고록을 발간할 예정이다.

이 전 부장은 '박연차 게이트' 수사를 이끌었던 인물로, 노 전 대통령이 2009년 4월30일 소환 조사 후 5월23일 서거하자 사표를 냈다. 그는 회고록에서 "문 전 대통령은 노무현의 주검 위에 거짓의 제단을 쌓아 대통령이 됐다"고 말했다.

그는 "권양숙 여사가 고(故) 박연차 회장에게서 피아제 시계 세트 2개(시가 2억550만원)를 받은 사실에 대해 '다툼이 없고 재임 중이던 2006년 9월 노 전 대통령에게 뇌물로 전달됐음'이 상당하다"며 "노 전 대통령은 검찰 소환조사 당시 '이 부장, 시계는 뺍시다. 쪽팔리잖아'라고 말했다"고 주장했다.

이 전 부장은 당시 노 전 대통령의 변호인이었던 문재인 전 대통령의 '무능과 무책임'이 노 전 대통령의 서거를 막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문 전 대통령이 변호인으로서 의견서 한 장 내지 않았고 수사 내용을 파악해 수사 담당자들과 의견 조율도 한번 없었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친노무현계, 친문재인계 민주당 인사뿐 아니라 야권 전체의 강한 비판이 일고 있다.

전해철 의원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노무현·문재인 두 전직 대통령에 대한 이 전 부장의 무도한 거짓 주장과 파렴치한 행태를 좌시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전 의원은 "이 전 부장이 회고록을 통해 주장한 내용은 사실의 적시라기보다는 자신의 관점과 시각에서 두 분 대통령을 왜곡되게 묘사하고 폄훼한 것으로 용인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섰다"고 주장했다.

문재인 정부 국정상황실장을 지낸 윤건영 의원도 라디오 인터뷰에서 "정치검사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노 전 대통령을 억울한 죽음으로 몰고 간 정치검사가 검사 정권의 뒷배를 믿고 날뛰는 행동이라고 본다"며 "노 전 대통령을 두 번 죽이는 것이고, 정치 검사의 일방적 주장일 뿐"이라고 반박했다.

노무현재단 또한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강력한 유감을 표한다"며 "노 전 대통령 서거에 가장 큰 책임이 있는 정치 검사가, 정치공작의 산물이며 완성되지도 않았던 검찰 조서를 각색해 책으로 출판한 것은 고인과 유족을 다시 욕보이려는 '2차 가해' 행위"라고 비판했다.

ddakbo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