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경기침체에… 빚 내 버티는 자영업자 늘었다

인플레이션 여파 실질소득 줄며 대출로 내몰려
개인사업자 신용대출 고금리 비중 17.9% 차지
“원금·이자 상환 한계” 대출 11개 받는 경우도
정부 모니터링 강화·채무 부담 완화 정책 필요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치솟는 물가와 경기 침체로 소상공인 등 개인사업자들의 한숨이 짙어지고 있다.
고금리 여파 속에서도 끝을 알 수 없는 불경기로 대출액이 늘어나고 있어 부실 우려를 막기 위한 정부의 모니터링이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전국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공시에 따르면 올 1~3월 신규 취급된 개인사업자 신용대출 중 연 8% 이상의 고금리 비중은 17.9%를 차지했다.
전년 동기 대비 4.9% 늘어난 것이다.
금리 구간별로는 △연 8%~9% 비중은 7.83% △연 9%~10% 비중은 4.31% △10% 이상은 5.75%를 기록했으며, 모두 지난해 대비 각각 2.9%, 1.2% 0.81% 증가했다.
지속되는 경기 침체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이 자금 운용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로는 고금리 대출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계속되는 인플레이션에 자영업자들은 실질 소득이 줄어들면서 대출로 숨통을 틀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대전 유성구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시민 A(55)씨는 “장사가 잘 안되다 보니 임대료, 인건비 부담이 커져서 대출할 수밖에 없다”라며 “주변에서도 원금과 이자를 내기가 어려워 대출을 11개까지 받는 사람도 있다. 그만큼 경기가 안 좋다”고 토로했다.
고금리에 이자 부담까지 늘어나자, 자영업자의 다중채무도 덩달아 늘어나는 상황이다.
지난 3월 신용평가기관 나이스(NICE)평가정보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개인사업자 가계·기업대출 중 다중채무 현황' 자료를 분석해보면 지난해 12월 기준 전체 다중채무 차주수는 173만 1283명이다.
같은 기준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68만 1164명에서 3% 가량 증가한 수치다.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이 해소되지 않는다면 소상공인들의 자금 운용 어려움은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홍연아 국립공주대 경제학과 교수는 “전쟁, 수입 물가 상승 등 인플레이션으로 자영업자들이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라며 “구조적인 원인을 찾아서 해결하지 않는다면 소상공인의 대출부담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가계부담이 증가하는 만큼 정부 모니터링과 금리, 원금 부담을 낮추는 정책 보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정세은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는 “빚을 내서 빚을 갚는 시민이 늘어나게 되면 가계부담이 커져서 경기가 무너질 수 있다”며 “정부가 세밀하게 모니터링 하거나, 새출발기금의 문턱을 낮춰서 금리나 원금에 부담을 줄이는 것도 방법이다”고 말했다.
강승구 기자 artsvc3@cctoday.co.kr

#대전

Copyright © 충청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