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 대상으로 최근 5년간 ‘해킹 시도’ 254건 발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부산항만공사 등 우리나라 주요 해양·수산 관련 공공기관에서 각종 정보를 빼내려는 행위가 적지 않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공공기관에 대한 해킹 시도는 관련 정보가 누출됐을 경우 개인이나 일반 회사 등보다 피해 규모가 크고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9년 49건에서 지난해에는 337건으로 7배 가까이 급증
정희용 의원, “정보 보호 위해 더욱 강력한 조치 있어야”
부산항만공사 등 우리나라 주요 해양·수산 관련 공공기관에서 각종 정보를 빼내려는 행위가 적지 않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 강력한 보안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진다.
21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정희용 국민의힘 의원(경북 고령군·성주군·칠곡군)이 해양수산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9년부터 올해 10월까지 9개 공공기관에서는 1145건의 ‘해킹 시도’가 있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19년 49건, 2020년 43건, 2021년 196건, 2022년 310건, 2023년 337건 등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건수는 2019년에 비해 약 7배 가까이 늘었다. 올해에는 210건에 이르렀다.
기관별로는 인천항만공사가 416건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부산항만공사 254건, 국립해양박물관 166건, 한국해양조사협회 144건, 여수광양항만공사 121건, 울산항만공사 36건, 국립해양생물자원관 8건 등의 순이었다. 국립해양과학관과 한국항로표지기술원에서는 해킹 시도가 없었다. 부산항만공사의 연도별 건수는 2019년 6건, 2020년 11건, 2021년 48건, 2022년 106건, 2023년 76건, 2024년 1~10월 7건으로 파악됐다. 국립해양박물관에는 2019년과 2020년 각 4건, 2021년 15건, 2022년 28건, 2023년 78건, 올해 1~10월 37건의 해킹 시도가 탐지됐다.
전문가들은 공공기관에 대한 해킹 시도는 관련 정보가 누출됐을 경우 개인이나 일반 회사 등보다 피해 규모가 크고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특히 사이버 해킹 공격 방식이 갈수록 고도화되고 있는 데다 빈도 역시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만큼 주요 정보가 빠져나가지 않게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조언한다. 최근에는 외국에 서버를 둔 세력들이 우리나라 공공기관에 대해 무차별적으로 해킹 시도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해수부 자료를 보면 천재지변이나 테러 같은 일이 발생해도 축적된 정보를 보존하고 빠르게 복구하는 장치인 ‘재해복구(DR) 시스템’을 구축한 기관은 9곳 가운데 여수광양항만공사뿐인 것으로 밝혀졌다. 예산 확보 어려움 등이 이유다.
정 의원은 “해킹 시도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데이터 유출 및 손실에 대한 위험이 크다는 반증”이라며 “각 기관은 정보 관리와 보호를 위한 노력을 더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해킹 뿐 아니라 재해·재난에 대비, 정보를 신속히 보존·복구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도 시급하게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해수부는 공공기관에 대한 해킹 시도 현황을 면밀하게 파악해 적절한 조치를 하겠다고 언급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