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 쉬인, 테무에서 청바지 사지 마세요.jpg

알리, 쉬인, 테무에서 청바지 사지 마세요.jpg

해외 직구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어린이 청바지에서 국내 기준치를 157배 초과하는 유해물질이 검출됐다. 28일 서울시가 발표한 해외 직구 어린이용 섬유 제품과 완구 41종을 대상으로 한 검사 결과에 따르면 이 가운데 10개 제품이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테무·쉬인·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판매되는 제품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유해 화학물질 검출 여부와 내구성을 검사한 결과 10개 제품 중 아동용 섬유 제품 5종이 유해 물질 기준을 초과하거나, 물리적 안전성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

여자 아이 청바지는 고무단추에서 프탈레이드계 가소제가 국내 기준치 대비 157.4배 초과해 검출됐다. 남자 아이 청바지 주머니감에서는 폼알데히드가 기준치보다 1.2배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내분비계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이다. 정자수 감소, 불임, 조산 등 생식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끈이 지나치게 길고 마감도 적절하게 처리되지 않은 여아 치마도 나왔고, 국내 어린이옷에서는 금지된 3차원 장식물을 단 아동 니트도 있었다.

유아용 섬유제품에서도 납, 카드뮴 등 유해 물질이 초과 검출됐다. 유아 블라우스에 부착된 브로치에서는 납이 기준치의 1.7배, 카드뮴은 기준치의 1.8배 초과했다. 납은 안전기준 이상으로 노출되면 생식기능에 해를 끼칠 수 있고, 암 위험도 증가한다.

브로치의 경우 날카롭게 제작돼 아이들 안전을 해칠 수 있다는 점도 문제로 꼽혔다. 자동차 완구는 내부 흰색 연질 전선에서 납이 기준치 대비 57.7배 초과 검출됐다.

서울시는 부적합 판정을 받은 제품에 대해서는 해당 플랫폼에 판매 중단을 요청했다. 다음 달에는 어린이날을 앞두고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완구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우리 애도 입었는데 어쩌지”...엄마들 비상 걸리게한 유해물질 폭탄 청바지

쉬인은 중국판 유니클로라고 요즘 많이 산다는데 그냥 중국 쇼핑몰에선 뭐라도 사지 않는 게 답인 듯.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