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더 걱정"… 중환자실 이미 '북새통' [의료대란 '비상']

이정한 2024. 2. 22. 19: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공의들의 집단 진료 거부 3일차인 22일 서울 주요 대형병원들은 수술과 진료 일정을 줄이고 입원 병동을 비우는 등 '의료 공백'에 따른 혼란이 이어지고 있다.

전공의 파업으로 불붙은 의료대란은 상급종합병원 등 대형병원에서 2차 병원으로 옮겨붙고 있다.

의료공백을 막기 위해 서울시는 이날부터 서울 8개 시립병원 내과·외과 등 필수진료 과목의 진료시간을 오후 6시에서 오후 8시로 연장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공의 집단사직 사흘째
상급병원 환자 몰려 의료 과부하
시립병원 8곳 오후 8시까지 진료
세브란스, 암환자 사망 논란 관련
"말기 임종케어… 의료공백 무관”
전공의들의 집단 진료 거부 3일차인 22일 서울 주요 대형병원들은 수술과 진료 일정을 줄이고 입원 병동을 비우는 등 ‘의료 공백’에 따른 혼란이 이어지고 있다. 파업 여파로 ‘빅5’ 병원의 문턱이 높아지면서 2차 병원과 공공병원에도 연달아 업무가 가중되는 상황이다. 전공의 공백을 메우고 있는 전임의(펠로)와 교수 등 대체인력이 소진되면 피해는 걷잡을 수 없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22일 서울 한 대학병원이 환자와 보호자로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의 한 대형병원 교수는 이날 “2월까진 어떻게 버티겠지만 3월부턴 여유가 없을 것”이라며 “현재로선 전임의와 교수를 총동원해 문제가 생기지 않게 관리하는 게 최선”이라고 말했다. 서울대병원의 한 간호사는 “응급실과 중환자실은 펠로랑 4년 차 레지던트가 있어 아직은 큰 어려움이 없다”면서도 “파업이 길어져 조기 퇴원하는 환자들이 많아지게 되면 상황이 복잡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다른 대형병원 수술실 간호사도 “이번 주 월요일부터 원래 잡혀 있던 수술들이 취소되고 평소의 10~20% 수준의 수술만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전공의 파업으로 불붙은 의료대란은 상급종합병원 등 대형병원에서 2차 병원으로 옮겨붙고 있다. 광주의 한 2차 병원 응급실을 찾은 60대 김모씨는 “일을 하다가 손을 다쳐 병원을 가야 하는데 전공의들 집단사직으로 제대로 진료를 받지 못할까 봐 집 부근의 2차 병원을 선택했다”고 말했다.

전남대병원과 조선대병원 앞에도 다른 병원으로 옮겨가는 환자들로 북새통이었다. 3년째 대학병원에서 폐암 치료를 받고 있는 박모씨는 “2차 병원으로 옮겨 입원해야 진료와 처방을 받을 수 있다”고 했다. 3차 병원의 대안이 된 2차 병원 입원실도 포화 직전이다. 2차 병원 한 관계자는 “며칠 사이 대학병원에서 옮겨오는 환자들로 중환자실에 비어있는 병상이 없다”며 “의료대란이 장기화될 경우 중형병원도 환자들을 소화하기 힘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의대 정원 증원 정책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집단행동에 들어간 지 사흘째인 22일 오전 광주 동구 전남대학교병원에서 의료진들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외래 항암 치료를 받으려고 서울대병원을 찾은 60대 A씨는 “4시간을 기다리라고 한다”며 “일정이 밀리진 않아서 다행이지만 대기시간이 너무 길다”고 말했다.

의료공백을 막기 위해 서울시는 이날부터 서울 8개 시립병원 내과·외과 등 필수진료 과목의 진료시간을 오후 6시에서 오후 8시로 연장했다. 서울의료원과 보라매·동부·서남병원 응급실은 24시간 운영한다.

전공의 파업 장기화로 사망 등 중대 피해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세브란스병원 응급실에서는 지난 19일에 말기 암 환자가 사망한 사실이 알려지며 ‘전공의 공백’에 따른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다. 다만 이 환자의 경우 말기 암으로 ‘터미널 케어(말기 암 환자 임종 케어)’를 받던 상태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진료 거부와 연관된 ‘뺑뺑이’로 인한 사망과는 차이가 있다는 게 병원 측의 설명이다.

한 대학병원 교수는 “임종을 앞둔 말기 암 환자의 사망은 의료진으로서도 어쩔 수 없는 측면이 있다”며 “진료 거부가 장기화할수록 살릴 수 있었던 환자였냐, 소생 불가능한 환자였냐를 놓고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상황이 늘어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정한·이예림·정진수 기자, 광주=한현묵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