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세계 미리보기..中 코로나 봉쇄에 지친 시민들 “시진핑 물러가라” 계속 외칠까[월드콕!]

임정환 기자 2022. 11. 27. 16:4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6일 밤 중국 상하이에서 벌어진 코로나 방역 항의 시위. AFP 연합뉴스
미국 월가 표지판. 로이터 연합뉴스
AP 뉴시스

■ 월드콕!

엄격한 중국 당국의 코로나19 봉쇄에 주민들의 인내심이 마침내 한계에 달한 모습이다. 주말 벌어진 항의 시위에는 “시진핑 물러나라!”는 구호까지 등장했다. 특히 중국에서는 코로나19 감염자 수가 연일 역대 최대 기록을 다시 쓰고 있어 당국의 강한 봉쇄 가능성이 커진 만큼, 항의 시위는 이번 주에 더욱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에서는 12월 2일 발표될 11월 고용보고서가 관심거리다. 전달보다 비농업 부문 신규고용이 소폭 줄었을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발언도 예정돼 있다.

◇1콕 : 中 코로나 봉쇄 지친 주민들 대규모 시위 이어질까 = 중국의 코로나19 신규 감염자 수가 4만 명에 육박하며 또다시 역대 최다치를 기록했다. 27일 중국 방역 당국에 따르면 31개 성·시·자치구의 전날 신규 감염자 수는 3만9506명으로 집계됐다. 나흘 연속 역대 최다치를 경신했고, 사흘 연속 3만 명이 넘었다. 특히 수도 베이징의 신규 감염자는 2000명대에서 하루 만에 4000명대로 대폭 증가, 4307명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봉쇄가 늘어나면서 주민들의 불만도 높아지고 있다. 엄격한 통제 사회 곳곳에서 인내심의 둑이 무너지는 가운데 곳곳에서 “시진핑 물러나라! 공산당 물러나라!”라는 구호까지 등장했고, 경찰은 최루탄을 쏘며 시위대를 해산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코로나19 감염자 수가 늘고 있어 당국의 봉쇄는 더욱 강화될 가능성이 커, 주민들의 시위도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중국에서 15년 이상 살았다는 한 교민은 “베이징 주민들이 방역 정책에 집단 항의하는 모습은 처음 본다”며 “3년 가까이 참았던 주민들의 인내심이 폭발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2콕 : 뜨거웠던 미 고용시장 둔화하나 = 미국에서는 12월 2일 발표될 고용보고서에 관심이 쏠린다. 11월 고용 보고서는 Fed의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가장 마지막으로 나오는 주요 고용 지표다. 투자자들은 고용이 오히려 살짝 둔화했기를 바라고 있다. 고용이 시장의 예상치에 미치지 못하고, 실업률이 올라갈 경우 경제 둔화의 신호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최근 증시를 끌어올린 가장 핵심적인 요인인 Fed의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기대감을 강화할 수 있다.

이런 가운데 월스트리트저널(WSJ) 전문가들은 11월 비농업 부문의 신규 고용이 20만 명 늘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뜨거웠던 미국 고용 시장의 둔화 조짐을 시사한다. 전월에 창출된 신규 고용 건수인 26만1000건보다 줄어든 수준이기 때문이다. 다만 실업률은 전월과 같은 3.7%가 예상됐다. 30일 미 싱크탱크인 브루킹스 연구소에서 열릴 파월 Fed 의장의 연설에도 관심이 집중된다. 월가에서는 이번 연설에서 Fed가 최근의 경제 흐름과 노동 시장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에 대해 중요한 힌트가 제시될 것으로 보고 있다.

◇3콕 : 러시아 원유 가격 상한가 이번에는 정해질까 = 오는 12월 5일부터 시행될 러시아 원유 가격 상한제를 앞두고 유럽연합(EU) 국가 내 이견이 분출된 가운데, 예정대로 가격 상한제가 시행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특히 EU 국가 사이에 이견이 커지자 당초 25일로 예정했던 회의 자체가 28일로 미뤄진 상태다. 앞서 EU 27개 회원국 대사는 23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러시아산 원유의 상한가에 대해 합의를 시도했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가격을 정하지 못했다.

EU 회원국이 러시아산 원유의 수입 상한가를 정하면 이보다 높은 가격에 거래한 러시아산 원유는 12월 5일부터 해상 보험이나 해상 운송 서비스를 받을 수 없다. 미국을 포함한 주요 7개국(G7)은 해당 논의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지만, EU가 결정한 러시아 원유 상한가에 따를 예정이며 호주도 동참하기로 했다. 현재 시장에서는 러시아산 원유 상한가가 65달러 수준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고 있으나 폴란드와 발트해 연안 국가들은 이보다 낮은 상한가를 요구하며 합의에 진통을 겪고 있는 상태다.

임정환 기자

[ 문화닷컴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모바일 웹 | 슬기로운 문화생활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