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득자가 가난한 사람보다 ‘건강하게’ 8살 더 산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프지 않고 살아가는 기간을 뜻하는 '건강수명'이 소득 상위 일수록 더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남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을 분석한 결과 소득 상위 20%의 '건강수명'은 2011년 71.8세에서 2021년 73.4세로 10년 사이 1.6세 증가했다.
소득 상위 20%와 하위 20%의 건강수명 격차가 10년 새 7.1세에서 8.2세로 더 벌어진 셈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프지 않고 살아가는 기간을 뜻하는 ‘건강수명’이 소득 상위 일수록 더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남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을 분석한 결과 소득 상위 20%의 ‘건강수명’은 2011년 71.8세에서 2021년 73.4세로 10년 사이 1.6세 증가했다.
반면 소득 하위 20%는 같은 기간 64.7세에서 65.2세로 0.5세 증가하는 데 그쳤다. 소득 상위 20%와 하위 20%의 건강수명 격차가 10년 새 7.1세에서 8.2세로 더 벌어진 셈이다.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서의 건강수명은 평균수명에서 질병이나 부상으로 활동하지 못한 기간을 뺀 기간으로 ‘얼마나 오래, 건강하게 사는가’에 초점을 둔다.
자살사망률, 치매 관리율, 고혈압 유병률 등도 소득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여성 자살사망률은 2018년 소득 상위 20%와 하위 20%의 격차가 인구 10만 명당 8.9명에서 2022년 10명으로 1.1명 늘었다.
치매의 경우 소득에 따른 치매안심센터 치매 환자 등록·관리율 격차가 2018년 52.2%포인트에서 2023년 56.5%포인트로 커졌다.
여성의 암 발생률은 소득 상위 20%와 하위 20% 간 격차가 2018년 97.3명에서 2021년 117.4명으로 20.1명 늘었다. 남성의 경우에도 같은 기간 78.3명에서 79명으로 격차가 벌어졌다.
고혈압 유병률은 남성의 경우 소득에 따른 격차가 2018년 5.4%포인트에서 2022년 7.7%포인트로 커졌고, 남성 비만 유병률도 소득 1분위와 5분위 간 격차가 같은 기간 1.1%p에서 4.2%포인트로 벌어졌다.
김 의원은 "기대수명은 점점 늘어나고 있지만 소득을 이유로 건강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다"면서 "지역별 균등한 의료시스템 편성과 더 보편적인 복지시스템의 구축을 지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유진 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적의 비만치료제? ‘위고비’ 상륙… 첫날부터 대란 조짐
- [속보]“철없이 떠드는 우리 오빠. 무식하면 원래 그렇다”…명태균, ‘김건희 여사’ 문자 공개
- “일본남자 38명 한국여자 성적굴복 위해 원정”
- “LG가 맏사위, 유명 연예인 부인 자녀 국제학교 학비 대고 사적 관계 유지”
- “‘사각 어묵’ 만지지 마세요” 서울시 당부한 이것의 정체
- [단독]“평양 침투 무인기는 3D프린터 제작 수제조립품…한국군 드론사 유사 무인기와 형상 확실
- “교도소에서 축구 가르쳤더니”…재소자들에게 생긴 일
- 조한선 “재벌가 사위가 아내에 10억 지원? 한참 웃었다”
- “노벨문학상, 중국이 받았어야”…국내 작가 입에서 나온 막말 ‘논란’
- 초봉 5000인데 11시 출근? 구름 지원자 몰린 이 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