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 분리 확인…누리호, 실용위성 싣고 날아올랐다

김진원 2023. 5. 25. 18:4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이 독자 기술로 개발한 로켓 '누리호'가 25일 오후 6시 24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전용 발사대에서 우주로 날아올랐다.

작년 6월 누리호 2차 발사에 이어 이번 3차 발사까지 성공적으로 수행하면서 한국은 세계적인 우주 과학 강국으로 우뚝 세게 됐다.

누리호는 발사 뒤 1단과 위성을 감싼 덮개인 페어링, 2단을 차례로 떼어냈다.

누리호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2010년부터 개발한 토종 발사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이 독자 기술로 개발한 로켓 ‘누리호’가 25일 오후 6시 24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전용 발사대에서 우주로 날아올랐다.

3500도 초고온 고압가스의 힘을 받아 하늘로 힘차게 솟구쳤다. 굉음이 프레스센터를 울렸다. 

실용위성을 탑재한 발사체를 쏘아올리는 첫 사례다. 

작년 6월 누리호 2차 발사에 이어 이번 3차 발사까지 성공적으로 수행하면서 한국은 세계적인 우주 과학 강국으로 우뚝 세게 됐다.

첫 로켓 개발 후 연속 발사 성공은 미국과 러시아, 중국도 달성하지 못한 진기록이다. 

전날 발생한 소프트웨어(SW) 문제는 밤샘 작업으로 해결했다.

액체헬륨의 압력을 낮춰주는 ‘해압밸브’와 ‘지상장비시스템제어장치(PLC)’ 사이에서 통신을 제어하는 SW의 명령어를 새벽 5시까지 수정했다.

오전 11시 발사 결정 이후 누리호 기체 점검과 준비 작업이 다시 시작됐다. 

오후 5시께 연료와 산화제 주입이 차례로 완료됐다. 

발사 10분 전 카운트다운(발사 전 자동 운용)을 거친 누리호는 예정된 시간에 솟구쳤다. 

누리호는 발사 뒤 1단과 위성을 감싼 덮개인 페어링, 2단을 차례로 떼어냈다. 

고도 550㎞에선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소형위성 2호를 분리했다. 

이후 20초 간격으로 부탑재위성인 큐브위성 7기가 차례로 내보냈다. 

누리호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2010년부터 개발한 토종 발사체다. 

앞선 누리호 1·2차 발사는 발사체 성능을 검증하는 것에 중점을 뒀다. 

한국이 지난 2차에 이어 3차 발사까지 성공하면서 50여년의 세계 우주개발사(史)에서 찾아보기 힘든 발자취를 남기게 됐다. 

정부는 향후 누리호 반복발사를 통해 발사체의 신뢰도를 높일 계획이다.  

고흥(나로우주센터)=김진원 기자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