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보고 치킨 사먹고…교육교부금 282억원 '줄줄' 샜다

신다미 기자 2023. 6. 6. 17:12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민간단체에 지급된 정부 국고보조금 중 300억원 이상이 부정하게 사용됐다는 정부 발표가 최근 나온 가운데, 정부가 시·도 교육청에 지원하는 교육재정교부금(교부금) 역시 300억원 가까이 줄줄 샌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무조정실은 오늘(6일) 정부합동 부패예방추진단이 2022년 10월∼2023년 5월까지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 대상으로 '지방교육재정' 운영실태에 대해 교육부와 합동점검을 벌인 결과 편법 사용 및 낭비 등 사례가 모두 97건 적발됐으며, 액수로는 282억원 규모라고 밝혔습니다.

우선 '그린스마트미래학교 전환사업' 운영비 예산의 경우, 목적에 맞지 않는 교직원 뮤지컬 관람비나 바리스타 자격 취득 연수비, 심야 시간대 치킨 주문 등에 모두 3억7천만원이 지출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최근 5년간 20조3천억원의 대규모 예산이 투입된 그린스마트미래학교 사업은 전임 문재인 정부가 추진한 '한국판 뉴딜사업' 중 하나로 전국 노후 학교 건물 2천835개 동을 최첨단 학교로 바꾸는 사업입니다.

이 사업비로 서울 A 중학교에서는 교직원 뮤지컬 관람비로 700만원을, 충남 B 초등학교는 400만원을 각각 썼습니다. 경기 C 고등학교 교직원은 지난해 7월부터 9월까지 10회 바리스타 자격취득 연수를 받으며 220만원을 지출했습니다.

이외에도 인천 D 고교는 밤 11시께 치킨 21만원어치를 시켜 먹었고, 경남 E고교는 음파전동칫솔 구입비로 290만원을 쓰기도 했습니다. 교육시설환경개선 사업 관련해서는 모두 33억원(45건)의 부당 집행이 적발됐습니다.

주요 사례로는 8개 교육청에서 부가가치세 면세 대상인 교직원 관사 건설용역 공사대급을 지급할 때 부가세를 포함했습니다. 이로 인해 모두 49개 공사에서 부가세 약 30억원이 과다 지급됐습니다.

E 교육청 관내 사립학교의 5억원 이상 건설 공사 14개를 표본 점검한 결과에서는 창호 공사에 필요한 유리 물량 산출 시 모두 1억9천만원의 물량이 과다 계상됐습니다.

아울러 5개 교육청 29개 학교에서는 내용연수(8년)가 넘지 않은 책걸상 등을 절차 없이 교체해 3억4천만원의 예산을 지출했습니다. 남북교육교류협력기금으로 북한에 물품 등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계약 관련 법령을 위반하고, 허위 정산을 하기도 했습니다.

F 교육청은 2021년 14억원, 2022년 3억원의 인도적 지원 물품을 반출하는 2건의 용역 계약을 체결하면서 특정 단체와 반복적으로 1인 수의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아울러 물품 반출 시 사용한 컨테이너를 약 8천만원에 구매하고도, 장기 임대한 것으로 허위 정산한 사실이 적발됐습니다. 교육시설환경개선기금을 편법 운용한 사례도 적발됐습니다.

G 교육청은 사용하지 않은 일반예산 계속사업비를 이월하지 않고, 교육시설환경개선기금으로 전출·적립해 일반 예산에 재편성했습니다.

결국 '재정집행 효율화 인센티브 목표치'(이·불용 비율 4% 미만)를 달성해 2023년도 예산 교부 시 인센티브 75억원을 추가 지급받았습니다.

국무조정실은 보도자료에서 "교부금은 2013년 41조1천억원에서 2023년 75조7천억원으로 급격히 증가했다"며 예산의 효율적 집행, 기금 적립의 적정성 등에 대한 점검이 필요했던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린스마트미래학교 사업 이행계획서 제출 의무 근거 마련, 목적사업비 증빙자료 확인 시에만 정산 가능한 시스템 구축, 기금운용 현황 분석지표 신설, 교육시설 환경개선 사업 관련 '업무 매뉴얼' 제작 및 배포 등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짧고 유익한 Biz 숏폼 바로가기

SBS Biz에 제보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