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난 호소’ LPG 판매사업자 “LPG용기 검사비 지원해 달라”
도시가스와 LPG 배관망 구축 확대, 농어촌 빈집 증가 등으로 LPG 판매가 급감하면서 공급되지 못한 채 보관되는 용기가 사업자들에게 또다른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 가뜩이나 줄어든 수익에 더해 보관용기의 검사비용까지 지불하는 이중고를 겪고 있어서다.
17일 전북가스판매업협동조합에 따르면, 도내 LPG 사용가구는 지난 2016년 29만 2천202곳에서 지난해 21만 423곳으로 8만 1천779곳이 줄어들었다. 같은 기간 도시가스 사용가구는 53만 7천484곳에서 65만 2천508곳으로 11만 5천26곳이 증가했다. 도시가스(LNG)가 저렴하고 가성비가 좋다는 이유로 정부와 지자체가 다양한 지원책을 동원해 공급 확대에 주력하고 있어서다. 전북지역의 경우 현재 장수군을 제외한 13개 모든 지자체에 도시가스가 부분적으로 공급되고 있다.
또한 도시가스가 공급되지 않은 지역을 중심으로 정부 50%, 지자체 40%, 주민 10% 부담으로 소형탱크 및 배관을 사용해 LPG가스를 공급하는 LPG가스배관망 구축사업을 순차적으로 진행 중에 있다. 장수 장계면과 남원 인월면은 내년말까지, 무주 안성면과 임실 오수면은 2026년까지, 부안 진서면과 임실 관촌면은 2027년까지, 고창 흥덕면은 2028년까지 LPG가스배관망이 구축된다.
결국 도시가스가 들어가거나 LPG가스배관망이 구축된 지역에서 20kg(가정용)나 50kg(업소용) 단위로 용기를 배달하거나 차량에 탑재한 LPG벌크로리를 통해 난방 및 취사연료를 보급하는 LPG 판매사업자는 수요가 막히게 된다. 일정기간 수요감소가 계속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지난해 말 기준 전북지역 LPG 판매사업자는 307곳. 수요 급감에도 불구하고 판매사업자는 수년간 거의 줄지 않았다는 게 업체 관계자의 설명이다. 인구밀집지역이 아닌 곳은 수요가 적다보니 도시가스나 LPG가스배관망이 들어갈 수 없어 LPG 판매사업자를 꾸준히 찾고 있어서다. 다만 수익이 줄어들다 보니 인력감축이 일상화돼 업체의 65% 이상은 대표자 1인이 운영할 정도로 영세하다.
문제는 수요급감에 따라 업체가 소유한 LPG 용기가 남아돌아 또 하나의 경비지출 요인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LPG 용기는 제조 후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의무적으로 안전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20년 이상은 2년, 20년 미만은 5년 주기다. 신규사업자가 거의 없는 업체 특성상 90% 이상은 20년 이상 사업을 영위하고 있고, 그로인해 해마다 안전검사 대상이 되는 용기도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전북가스판매업협동조합 이관희 이사장은 “소규모 사업자라 해도 최소 300개에서 500개 정도의 용기는 소유하기 마련”이라며 “보통 업체당 검사대상이 월 평균 50개 정도 발생하는데, 검사비가 개당 2만원 정도 하니, 매월 100만원 가량이 용기 검사비로 지출되는 게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농어촌 빈집 증가 등으로 방치된 LPG 용기들도 수거해 안전검사를 실시해야 하지만 이 또한 판매업소가 비용 전액을 부담하는 현실에서 선뜻 나서지 못해 가스유출 등의 안전문제도 대두되고 있다.
이관희 이사장은 “지난해 말 지자체 관계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전북도에서 사업 추진시 협조하겠다’는 답변을 14개 전 시군에서 받아냈지만 부안군만이 올해 500만원 한도로 일부 지원하는 게 전부”라며 “취약계층의 LPG 비용을 경감하고, 방치된 LPG 용기를 적극 수거해 안전관리에 나서기 위해서라도 판매업소에 LPG 용기 검사비 50%는 지원해 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상기 기자
#전북 #L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