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日 '초계기 갈등' 덮고 안보협력 가속

김성훈 기자(kokkiri@mk.co.kr) 2023. 6. 4. 17:3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년만에 한일국방장관회담
北미사일 정보 실시간 공유

한일 국방장관이 4일 싱가포르에서 만나 양국 안보 분야 최대 쟁점인 초계기 갈등을 봉합하고 대승적 차원에서 협력관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한일정상회담과 셔틀외교 복원에 이어 양국 간 안보 공조도 본격적으로 속도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제20차 아시아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 참석차 싱가포르를 방문한 이종섭 국방부 장관은 현지에서 하마다 야스카즈 일본 방위상과 회담을 하고 이같이 합의했다. 한일 국방장관이 양자회담을 한 것은 약 4년 만이다.

국방부는 이날 "양국 장관은 이번 회담에서 미래지향적 한일, 한·미·일 안보협력을 진전시키고 한일 국방당국 간 소통을 증진해나기로 했다"며 "한일 국방당국 간 현안에 대해서 재발방지책을 포함한 협의를 가속화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2018년 12월부터 5년 가까이 한일 안보협력을 가로막고 있는 초계기 문제로 더 이상 시시비비를 다투지 않고 대북 공조 등 미래에 집중하겠다는 의미다. 한일이 이번 회담을 통해 해묵은 갈등 요소인 초계기 문제를 덮기로 하면서 한일, 한·미·일 안보협력은 더욱 속도를 낼 전망이다.

한편 이 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 하마다 방위상은 전날 싱가포르에서 3자 회의를 열어 북한 핵·미사일 대응 공조 강화 방안을 내놨다.

한·미·일은 지난해 3국 정상이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합의한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 실시간 공유 체계를 올해 안에 가동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에 따라 미국 인도·태평양사령부 예하의 연동통제소를 중심으로 북한의 미사일 도발 시 각각 탐지한 발사 예상 지점과 비행 궤적, 예상 탄착 지점을 올해부터 실시간으로 공유하게 된다. 세 나라는 2018년 이후 중단된 해양차단훈련과 대(對)해적훈련 등 3국 간 연합해상훈련도 모두 복원해 정례화하기로 했다. 이 장관은 한·미·일 국방장관회의에 앞서 오스틴 장관과 별도로 약식 회담을 하고 북한이 지난달 31일 발사에 실패한 발사체를 인양해 한미 공동조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김성훈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