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초반, 기아자동차는 젊은 감성과 스타일리시한 세단의 이미지를 내세워 새로운 시장을 공략하려 했다. 그 결과물이 바로 스펙트라 윙이다. 단어만 들으면 쿠페를 연상하게 만드는 이 차는 세단과 해치백의 중간 형태로, 슈마의 연장선에 있는 모델이었다. 우선 슈마를 먼저 설명해야 하는데, 기아의 사택인 슈마타운의 슈마가 바로 그 차종이다. IMF 탓에 곤경인 기아를 살릴 구원투수로 던졌으나, 혁신적이지만 대중적이진 못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그런 슈마의 페이스리프트 격 모델로 출시된 스펙트라 윙은 세피아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모델로 당시 기아의 젊은 감각을 대표하던 테라스 해치백이었다. 전면부에 토요타 셀리카를 닮은 4등식 헤드램프가 시그니처였던 슈마와 다르게 일체형으로 구성된 헤드램프가 신차 느낌을 풍겼는데, 후면부로 넘어가면 영락없이 슈마의 흔적이 엿보이기도 했다. 후문으로 스펙트라 윙의 수출명이 슈마이기도 했다.
넓은 공간 제공 해치백
세피아의 언더바디 이었다
스펙트라 윙은 기아의 라인업 확장 전략의 목적으로 탄생한 모델이다. 스포티한 디자인을 자랑했던 슈마에서 이어받은 테라스 해치백 스타일의 가볍고 경쾌한 실루엣이 인상적이었으며, 당시로선 세련된 전면부 디자인과 깔끔하게 정리한 후면부로 젊은 소비자를 표적으로 삼았다. 특히, 해치백 형태지만 준중형 세단에 가까운 공간감을 갖춰 실용성에서도 나름대로 강점을 내세웠다.
하지만 문제는 뿌리였다. 이 차의 골격은 세피아 레오의 언더바디를 이어받았다. 당시 세피아는 오랜 시간 기아의 주력 차종이자 최초의 독자 개발 플랫폼이었지만, 그 플랫폼이 새로운 시대를 담기엔 부족했다. 여기에 슈마 역시 세계 시장을 기준으로 보면 세단형 모델인 스펙트라와 차별성이 크다고 보기 어려워, 도리어 점유율을 잠식하는 소위 '땅따먹기'만을 할 뿐이었다.
윙이라는 이름이 무색했다
어쩔 수 없는 동력 성능 한계
당시 스펙트라 윙에 탑재된 파워트레인은 1,500cc급 DOHC와 1,800cc급 DOHC 가솔린 엔진이 주력이었다. 최고 출력은 100마력 대 초반 수준으로, 당시 기준으로도 반향을 일으키기 어려운 수치였다. 물론 수동 변속기를 선택하면 약간의 경쾌함을 느낄 수 있었지만, 당시 변속기 기술 수준이 높지 않았던 자동 변속기와 조합 시에는 가속 반응이 둔하고, 고속 주행 시 정숙성도 아쉬움을 남겼다.
무엇보다 스펙트라 윙은 날개라는 이름에 걸맞은 스포티함을 기대한 소비자들에게 실망을 안겨주기 충분했다. 서스펜션은 부드럽지만, 롤이 심했고 조향감은 정확함보다 가벼움에 초점이 맞춰졌다. 결국 디자인이 주는 스포티한 인상과 실제 주행 성능 간의 괴리가 컸고, 이는 시장에서 판매량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절찬리에 판매되던 당시에도 스펙트라는 보기 쉬웠지만, 스펙트라 윙이 보기 어려웠던 이유다.
모델 수명이 길지 않았다
밑거름으로 아직 살아있다?
스펙트라 윙은 단명한 모델이었다. 뛰어난 상품성이나 기술적 진보보다는 기존 자원을 활용한 재포지셔닝 성격이 짙었던 탓이다. 후속 모델인 쎄라토가 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단종의 길로 접어들었고, 해치백 스타일은 그때나 지금이나 국내 소비자들에게는 인기가 없었기에 대중성 확보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스펙트라 윙은 이제 길 위에서 보기 힘든 자동차다. 많은 이들은 기억조차 하지 못하지만, 이 차량은 분명 기아가 글로벌 무대로 나아가기 전, 브랜드의 좌표를 다시 그리던 시기의 중요한 흔적 중 하나였다. 상업적으로 실패했다고 해서 의미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오늘날 기아가 K5, EV6 등의 경쟁력 있는 모델들을 선보일 수 있게 된 배경에는, 슈마/스펙트라 윙과 같은 실험 작의 경험이 밑거름되었음은 분명하다. 소비자의 기대를 완전히 만족시키진 못했지만, 스펙트라 윙은 스포티한 차종을 주기적으로 개발하는 기아의 밑거름으로 살아 숨 쉬고 있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