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통신대란 보고도..백업 시스템 외면한 카카오

배양진 기자 2022. 10. 16. 18:5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번 카카오 먹통 사태를 보며, 지난해 있었던 KT 통신장애 사태를 떠올린 분들 많을 겁니다. KT 사태 이후, 정부는 통신 대란을 막기 위해 카카오 등을 콕 집어서 데이터 백업 시스템을 마련하라고 권고했습니다. 그런데 왜 또 이런 일이 일어난 걸까요.

배양진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지난해 10월 1900만명이 사용하는 KT 통신망이 멈춰섰습니다.

점심시간 식당의 카드 결제 기능부터 몇 초에 수억이 오가는 증권사 거래까지 생활 전반이 약 80분 동안 멈췄습니다.

이후 정부는 지난해 말 카카오나 네이버, 넷플릭스 같은 대형 콘텐츠 사업자를 콕 집어 통신대란을 막기 위한 권고를 했습니다.

여러 기능이 동시에 멈추는 걸 막기 위해 기능별로 서버를 나누고, 유사시 신속한 기능 복구를 위해 데이터 저장소를 이원화하란 지침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화재로 카카오의 서비스는 카카오톡부터 결제 기능까지 한꺼번에 멈췄습니다.

카카오 관계자는 "이원화 작업을 해뒀지만, 서버에 몰려 있는 것들이 커서 안 좋은 상황이 발생한 것 같다"고 전했습니다.

[양현서/카카오 대외협력실 부사장 : 저희가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예상 리스크 시나리오를 세우고 준비했다고 생각했으나, 화재라는 것은 워낙 예상할 수 없는 사고였기 때문에…]

하지만 업계에선 카카오가 서버 분산과 긴급 대응 시스템에 제대로 투자하지 않아 이런 사태가 벌어졌을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화재 건물에 역시 데이터센터가 있었던 네이버는 서비스별로 서버를 나눠 큰 장애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과기부는 카카오와 네이버 등에 사고 관련 자료를 요구했다며 현행법을 어긴 점이 있는지 조사하겠다고 했습니다.

(영상디자인 : 황수비)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