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대·방임 우려 높은 ‘장기 결석 학생’…지난해만 6300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뚜렷한 사유 없이 두달 이상 학교를 나오지 않은 학생이 6000명을 웃돌았다.
27일 한국교육개발원의 '유·초·중등 학교급별 개황' 통계에 따르면 2023학년도(2023년 3월∼2024년 2월) 장기 결석 학생은 6332명으로 집계됐다.
초등학교 장기 결석생은 3081명으로, 전체 초등학생의 1.2%였다.
실제로 지난해 2월 두달 넘게 장기 결석했던 초등학생 A군이 온몸에 멍이 든 채 병원으로 이송됐다가 사망한 사건이 있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문가 “결석 초기에 원인 파악해 대책 마련해야”
지난해 뚜렷한 사유 없이 두달 이상 학교를 나오지 않은 학생이 6000명을 웃돌았다. 장기 결석생은 보호자의 방임이나 학대 등에 시달릴 가능성이 높아 철저한 조사와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7일 한국교육개발원의 ‘유·초·중등 학교급별 개황’ 통계에 따르면 2023학년도(2023년 3월∼2024년 2월) 장기 결석 학생은 6332명으로 집계됐다.
장기 결석이란 초등학교와 중학교 등 의무교육 대상자(특수교육은 고등학교 과정까지 포함) 가운데 질병 등 정당한 사유 없이 법정 수업일수인 190일의 3분의 1 이상, 즉 64일 이상 결석한 경우를 의미한다.
학교급별로는 중학교 장기 결석생이 3240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전체 중학생의 2.4%로, 100명 가운데 약 2명이 정당한 사유 없이 학교에 나오지 않았다.
초등학교 장기 결석생은 3081명으로, 전체 초등학생의 1.2%였다. 특수교육 대상 고등학생은 11명이 장기 결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고등학생의 0.001%다.
장기 결석생은 보호자의 방임이나 학대 등에 시달리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지난해 2월 두달 넘게 장기 결석했던 초등학생 A군이 온몸에 멍이 든 채 병원으로 이송됐다가 사망한 사건이 있었다. 당시 A군은 홈스쿨링(재택교육)을 한다며 학교에 나오지 않았지만 친부와 계모에게 학대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문가들은 학생의 결석 초기 단계에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박남기 광주교대 교수는 “결석이 시작되면 초기 단계에서 부모, 친한 친구, 친한 교사 등이 팀을 이뤄 학생의 결석 원인을 분석해야 한다”며 “단순 학교 부적응이 문제라면 공립 대안학교 등에서 적응을 유도하는 등 원인에 따라 조기에 학생별로 맞춤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교육개발원은 교육부와 함께 매년 유·초·중·고교 학생, 학급, 교원, 입학생, 졸업생 등에 대한 기본 통계를 조사한다. 기본 통계에 장기 결석생을 포함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