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가 자국 최초의 대형 항공모함 건조를 공식화하며 지중해의 세력 구도에 새로운 변수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튀르키예 국방부는 최근 6만톤급 항공모함 건조 시작을 발표했으며,
이는 단순한 군사력 증강을 넘어 '지역 강국'에서 '글로벌 파워'로 도약하려는 튀르키예의 전략적 야망을 보여주는 중대한 전환점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튀르키예의 야망, 6만톤급 항공모함으로 지중해 세력 균형 바꾼다
튀르키예 관리들은 "항공모함 건조는 터키가 지역 강국에서 글로벌 파워로 성장하기 위한 필수 요소"라며 이 프로젝트의 전략적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지중해, 흑해, 에게해를 아우르는 '블루 홈랜드' 독트린을 추진해온 튀르키예에게 항공모함은 원해에서의 군사력 투사 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는 게임체인저가 될 전망입니다.
튀르키에 건조계획중인 항공모함은 STOVL(Short Take-Off and Vertical Landing) 방식의 F-35B 스텔스 전투기를 운용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설계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6만톤급 규모는 영국의 퀸 엘리자베스급(6만5천톤)과 비슷한 수준으로, 중형 항공모함 중에서는 상당히 강력한 전력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로, STOVL(short take off and vertical landing)은 항공모함 함재기가 이착륙하는 방식의 하나로서, 단거리로 이륙하고, 수직으로 착륙하는 방식입니다.
스페인과의 협력으로 기술 장벽 극복
주목할 만한 점은 튀르키예가 이 야심찬 프로젝트를 스페인과 공동으로 추진한다는 것입니다.
스페인은 이미 후안 카를로스 I급 강습상륙함을 보유하고 있어 항공모함 건조 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튀르키예는 스페인 나반티아(Navantia) 조선소와의 협력을 통해 항공모함 설계 및 건조 기술을 습득하고 자국 방위산업 역량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튀르키예는 이미 스페인과 협력하여 TCG 아나돌루(Anadolu)라는 경항공모함(다목적 상륙함)을 건조해 취역시킨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건조되는 6만톤급 항공모함은 규모와 능력 면에서 완전히 다른 차원의 전력으로 보입니다.
TCG 아나돌루가 주로 드론과 헬기를 운용하는 반면, 새 항공모함은 F-35B 등의 정규 전투기를 탑재할 수 있습니다.
지중해 세력 구도 재편될까
튀르키예의 항공모함 건조는 지중해 지역의 군사적 균형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현재 지중해에서 항공모함을 운용하는 국가는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이집트 등이 있지만, 만약 튀르키예가 6만톤급 항공모함 건조에 성공한다면 이들 중 가장 큰 규모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그리스, 키프로스, 이스라엘 등과 동지중해 가스전 개발 및 해양 경계선 문제로 갈등을 빚어온 튀르키예가 항공모함을 보유하게 되면 지역 내 긴장이 고조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리비아, 시리아 등 튀르키예가 군사적으로 개입하고 있는 지역에서도 영향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도전 과제와 전망
하지만 튀르키예의 항공모함 프로젝트가 그렇게 낙관적이지만은 않습니다.
튀르키예의 항공모함 프로젝트는 기술적, 재정적 도전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기 때문입니다.
특히 미국의 F-35 프로그램에서 퇴출된 튀르키예가 어떤 함재기를 운용할지가 관건입니다.
튀르키예는 자체 개발 중인 5세대 전투기 'TF-X'의 함재기 버전을 개발하거나, 대안으로 TB3 무인전투기 같은 자국산 무기체계를 활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이 프로젝트의 총 비용은 수십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며,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튀르키예가 이를 어떻게 조달할지도 중요한 문제로 보입니다.
그럼에도 터키는 2030년대 중반까지 이 항공모함을 취역시켜 해군력을 대폭 강화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습니다.
이는 에르도안 대통령이 추진해온 '2023 비전'과 '2053 비전'의 핵심 요소로, 오스만 제국의 영광을 재현하려는 튀르키예의 야망을 상징하고 있습니다.
튀르키예의 항공모함은 완공까지 10년 이상이 소요될 전망이지만, 이 결정 자체만으로도 지중해와 중동 지역의 안보 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NATO의 동남쪽 날개이자 지중해의 지정학적 요충지인 튀르키예의 해군력 강화는 향후 지역 안보 구도를 크게 변화시킬 잠재력을 지니고 있어 지속적으로 주목해서 바라봐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