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난이 들어왔나요?"..아는 사람만 반값에 찾아 먹는다

송경은 2022. 9. 21. 18: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외형 탓 정상 유통 어렵지만
맛·영양에 큰 차이 없어 인기
무·양파 등 최대 50% 저렴
한 농가에서 수확된 감자의 형태가 들쭉날쭉하다. 너무 작거나 울퉁불퉁한 감자는 등급 외(못난이)로 분류돼 일반 상품보다 10~30% 저렴하게 판매된다. [사진 제공 = 어글리어스 마켓]
최근 고금리·고물가에 농산물 가격까지 치솟으면서 맛과 영양 등 식품으로서의 품질은 일반 농산물과 큰 차이가 없지만 울퉁불퉁한 모양, 작은 크기 등 외형 때문에 정상적으로 판매되지 못하는 '못난이(B급) 농산물'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상품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대부분 폐기돼 왔지만 농산물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못난이 농산물을 찾는 소비자들이 눈에 띄게 늘었기 때문이다.

2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최근 주요 대형마트의 못난이 농산물 판매량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일례로 홈플러스의 최근 2주간(8월 14~28일) 못난이 농산물 판매량은 전월 동기(7월 14~28일) 대비 78% 증가했다. 홈플러스는 지난 7월부터 전국 134개 점포에서 사과, 토마토, 밀감 등 '맛난이 과일' 5종과 10개 점포에서 무, 양파, 감자 등 '맛난이 채소' 8종을 판매 중이다. '맛난이'라는 이름은 맛과 못난이의 합성어로 '못나도 맛은 좋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일반적으로 못난이 농산물은 일반 농산물 대비 약 10~30% 저렴하게 판매된다. 홈플러스는 여기에 더해 22~28일 일주일간 일부 품목에 대해 추가 20% 할인 행사를 진행한다. 개당 1990원에 판매되던 '맛난이 무'(700g~1㎏)는 1590원에 판매하고 '맛난이 작은 양파'(2㎏)는 3190원, '맛난이 감자'(900g)는 1990원에 선보인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일반 농산물 대비 40~50%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기회"라고 말했다.

참외, 자두, 사과 등 못난이 과일 10여 종을 판매해온 롯데마트의 '상생 과일' 역시 지난 1~7월 누적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00% 이상 성장할 정도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현재 롯데마트에서 판매 중인 '화산 배'(3㎏)는 1만3900원인 반면 '상생 배'(3㎏)는 이보다 14% 저렴한 1만1900원에 판매되고 있다. 100g당 판매 가격을 기준으로 '상생 자두'는 일반 자두 대비 23% 저렴하고, '상생 사과'는 일반 사과 대비 27% 저렴하다.

2020년 10월 국내 최초로 '못난이 채소박스' 정기구독 서비스를 선보인 어글리어스의 이용객 수도 꾸준히 늘고 있다. 지난달 말 기준 누적 1만8000명이 채소박스를 받아봤다. 어글리어스는 서비스 출시 이후 현재까지 총 33만9835㎏의 친환경·유기농 못난이 농산물을 판매했다. '스탠다드 박스'를 기준으로 1~3주 간격으로 채소 7~10종을 랜덤으로 구성하는데 기록적인 폭우가 농가를 휩쓸고 간 지난달 중순에는 채소박스에 자라면서 구부러진 대파인 '춤추는 대파'를 포함해 배송하기도 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국내에서 생산되는 농산물 중 등급 외(못난이) 농산물이 차지하는 비율은 평균 11.8%(2018년 기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근의 경우 그 비율이 19.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농가에서 수확하는 당근 5개 중 1개는 제대로 유통되지 못한 채 대부분 버려진다는 뜻이다.

과거 못난이 농산물은 '가치 소비'의 영역에 머물러 있었다. 농가의 손실은 물론 농산물 폐기로 인한 메탄가스 발생 등 환경 영향까지 줄여줄 수 있다는 데 공감한 일부 소비자들 사이에서 먼저 알려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고물가로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부담이 커지면서 이제는 못난이 농산물 소비가 실질적으로 허리 끈을 졸라매기 위한 '생활 소비'가 됐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현재 배추 1포기의 소매가격은 9738원(9월 20일 기준)으로 전년(5683원) 대비 71.4% 치솟았다. 같은 기간 무는 89.8%, 풋고추는 88.6%, 당근은 40.4%, 시금치는 26.3% 올랐다.

다만 아직 국내에서는 못난이 농산물을 등급 외 상품으로 일괄 분류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농산물은 수분을 충분히 머금고 있어 크기에 비해 무게가 나가 집어 들었을 때 묵직한 것이 신선하다. 브로콜리의 경우 꽃봉오리가 넓게 퍼지거나 열려 있는 것은 수확 후 시간이 오래된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선택해서는 안 되고, 당근의 이파리 쪽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녹색 빛을 띄는 것은 신선도가 떨어지고 맛이 쌉싸름하다.

못난이 농산물은 일반 농산물보다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소비하는 게 좋다. 예컨대 울퉁불퉁한 감자가 매끈한 감자보다 더 싹이 많이 나고 곧게 자란 채소가 구부러진 채소보다 더 오랜 기간 신선하다. 흠집이 있는 채소는 흠집 부위를 잘라낸 뒤 보관하거나 구입 즉시 섭취하는 것을 권장한다. 흡집 부위를 중심으로 빠르게 부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송경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