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심 값 1만원 시대, 2천원으로 한끼 해결하려는 직장인들 몰리는 곳

조회 7,1082025. 3. 12.

SPC삼립의 '런치빵' 시리즈가 출시 2주 만에 50만 봉 판매를 돌파하며 가성비 식사 대용식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점심 한 끼 가격이 1만 원을 넘어가는 '런치플레이션(런치+인플레이션)' 시대에 1900원이라는 합리적인 가격과 15~19cm의 든든한 사이즈로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고물가 시대, 가성비 식사 대용식 시장 급성장

최근 물가 상승으로 인해 직장인들의 외부 점심값 평균이 9000원대에 달하고, 1만 원 이상 지출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비자들은 시간과 비용을 동시에 절약할 수 있는 '시성비(시간+가성비)' 높은 식품을 찾고 있다.

SPC삼립은 이러한 소비 트렌드를 정확히 파악하고 고물가 시대 '런치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런치빵 시리즈를 개발했다. 특히 학생과 직장인을 중심으로 '스내킹(snacking, 가벼운 식사)'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식사 대용 간편식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SPC삼립 런치빵, 가성비와 사이즈로 소비자 사로잡아

SPC삼립의 런치빵 시리즈는 △토마토 피자 브레드 △콘마요 빅브레드 △어니언 치즈 브레드 △햄뽀끼 빅브레드 총 4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난 2월 13일 토마토 피자 브레드와 콘마요 빅브레드 2종이 먼저 출시됐고, 2월 20일에 어니언 치즈 브레드와 햄뽀끼 빅브레드 2종이 추가로 출시됐다.

이 제품들은 출시 초반부터 타 양산빵 제품 대비 25%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으며, 2주 만에 50만 봉 판매라는 놀라운 성과를 달성했다. SPC삼립 관계자는 "지난 2주간 런치빵 판매 수량은 기존에 선보인 빵 제품의 같은 기간 판매량의 두 배 수준"이라며 "가성비와 사이즈로 입소문이 나면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 간편식 시장, 빠른 성장세 지속

한국의 간편식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연구 기관에 따르면 한국 간편식 시장은 2025-2031년 동안 연평균 7.5%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한국 편의식품 시장은 2025-2033년 동안 연평균 5.5%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성장의 주요 요인으로는 도시화, 바쁜 생활 방식, 1인 가구 및 맞벌이 가구 증가,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식품 가공 기술의 발전 등이 꼽힌다. 특히 현대인의 빠른 생활 템포와 시간 제약으로 인해 편리하면서도 영양가 있는 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식품업계, 가성비 식사 대용식 시장 경쟁 가열

SPC삼립의 런치빵 성공에 힘입어 다른 식품 업체들도 가성비 식사 대용식 시장에 적극적으로 뛰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편의점 채널은 이러한 제품들의 주요 유통 경로로 부상하고 있다.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은 중소 식음료사와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기획 상품을 출시하며 식품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GS25 역시 대기업 계열 제조사와 협업해 기획 상품을 만들며 시장 경쟁에 참여하고 있다.

SPC삼립은 런치빵의 인기에 힘입어 '일구빵빵 런치빵(1900원 런치빵)' 콘셉트를 담은 CM송을 제작해 라디오에서 공개할 예정이며, 추가 신제품 출시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식사빵 시장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장 전망 및 향후 과제

한국의 간편식 시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특히 건강과 영양을 고려한 프리미엄 간편식, 식물성 식품, 기능성 식품 등이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간편식 시장의 성장에는 몇 가지 과제도 존재한다. 높은 가격대로 인한 접근성 제한, 전통적인 식사 대비 영양학적 우려, 장기적인 건강 영향에 대한 의문 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편의점 채널을 통한 마케팅이 때로는 재고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러한 과제에도 불구하고, 바쁜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과 고물가 시대에 대응하는 가성비 식사 대용식 시장은 계속해서 확대될 전망이다. SPC삼립의 런치빵 성공 사례는 소비자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가격과 품질로 대응한 결과로, 향후 식품 업계의 제품 개발 방향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Copyright © 저작권 보호를 받는 본 콘텐츠는 카카오의 운영지침을 준수합니다.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