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연합상륙 ‘쌍룡훈련’ 돌입…5년 만에 사단급으로 확대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2023. 3. 20. 17: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이 전날(19일) 북한판 이스칸데르(KN-23) 발사 등 김정은 국무위원장 부녀가 참관한 '핵반격 가상 종합훈련'을 공개한 20일 한미는 프리덤실드(FS) 연합훈련과 연계한 대규모 연합상륙훈련인 '쌍룡훈련'을 개시했다.

쌍룡훈련은 문재인 정부 때인 2018년을 끝으로 비핵화 협상 등을 이유로 중단됐다가 5년 만에 재개되는 것이다 2018년까지 여단급으로 진행됐지만, 이번엔 사단급으로 규모를 키워 시행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북한이 전날(19일) 북한판 이스칸데르(KN-23) 발사 등 김정은 국무위원장 부녀가 참관한 ‘핵반격 가상 종합훈련’을 공개한 20일 한미는 프리덤실드(FS) 연합훈련과 연계한 대규모 연합상륙훈련인 ‘쌍룡훈련’을 개시했다.

쌍룡훈련은 문재인 정부 때인 2018년을 끝으로 비핵화 협상 등을 이유로 중단됐다가 5년 만에 재개되는 것이다 2018년까지 여단급으로 진행됐지만, 이번엔 사단급으로 규모를 키워 시행된다.

다음달 3일까지 진행되는 이 훈련에는 병력 1만 3000여 명과 미국의 와스프급 상륙함 마킨 아일랜드(LHD-8·4만 2000t), 한국 해군의 대형수송함인 독도함(LPH·1만 4500t)을 비롯한 함정 30여 척과 상륙돌격장갑차(KAAV) 50여대 등이 참가한다.

마킨 아일랜드에 탑재된 F-35B 수직이착륙 스텔스전투기와 한국 육군의 아파치 공격헬기 등 공중 전력도 다수 동원된다. 이달 말 ‘결정적 행동’으로 불리는 상륙작전 훈련 당일에는 한미 연합 및 합동 전력이 대규모로 해상과 공중에서 전개해 압도적인 전력과 연합상륙작전 수행 능력을 과시함으로써 북한의 도발 위협에 경고장을 날릴 계획이다.

또 FS 훈련과 연계해 강원 인제에서 진행중인 연합 과학화전투(KCTC) 훈련에 한미 연합사단(미 2사단) 예하 스트라이커 여단 소속 1개 대대가 참가 중이라고 군은 밝혔다. 그간 미군은 연합 KCTC 훈련에 중대급 이하로만 참가해오다 처음으로 대대급으로 확대한 것이다.

군 관계자는 “기존 무박 4일로 진행됐던 훈련 방식도 공격 및 방어작전을 각 무박 3일씩 2차례로 늘리는 등 훈련의 강도와 실전성을 높였다”고 말했다.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