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자동차 관세를 부과했지만 미국에서 자동차 가격을 인상할 계획이 없다."
3일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은 수입산 자동차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트럼프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해 "이전에도 관세부과에 대한 설명이 있었고, 크게 놀라운 일이 아니다"라며 못을 박았다.
트럼프 정부가 발표한 한국에 대한 25% 상호관세율이 추가로 적용되진 않는다.
무뇨스 사장이 '미국 시장에서 가격인상 계획이 없다'고 발언해 현지 딜러에게 공급하는 차량 가격 인상 가능성을 언급한 미국 법인장 렌디 파커 CEO의 발언을 일축한 것.
무뇨스 사장은 이날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 미디어데이에서 "관세 발표를 봤고 그 영향을 평가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무뇨스 사장은 "현대차는 고객 가치를 창출해 온 오랜 역사가 있고 경쟁력을 유지할 것"이라며 "이것이 (고객들이) 현대차에 기대하는 바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미국 시장에서 현대차의 포지션을 늘려 경쟁력을 유지해 나갈 것”이라며 “좋은 디자인과 기술, 서비스, 금융프로그램을 비롯해 경쟁력 있는 제품을 지속적으로 제공해드리면 된다”고 덧붙였다.
무뇨스 사장은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시장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혁신하는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정의선) 회장님은 도전 과제에 적응하는 것이 우리의 DNA라고 말씀하신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한편,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는 1분기 미국 시장에서 각각 20만3554대, 기아 19만8850대 판매를 판매해 역대 최대 분기 판매량을 기록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지난 달 24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2028년까지 총액 210억 달러(약 31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를 집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