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근로자 10명 중 6명, 내국인보다 더 번다

국내 외국인 근로자 10명 중 6명은 내국인 근로자에 비해 평균 인건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임금에 비해 생산성은 떨어져 한국어 능력 교육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5일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2024년 외국인력 고용 관련 종합애로 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내국인 구인난이 심화되면서 국내 중소기업체들은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의존도가 계속해 심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외국인 근로자 고용사유 중 내국인 구인난 심화 비중을 보면 2022년 90.6%에서 2023년 91.3%, 2024년 92.2%로 매년 높아지고 있다.

이 같은 구인난에 대한 원인으로 국내 산업현장에 대한 내국인의 취업기피(2022년 74.8%→2024년 90.2%)가 지목된다.

외국인 근로자의 1인당 평균 인건비는 263만원(기본급 209만원, 상여금 4만원, 잔업수당 42만원, 부대비용 8만원), 여기에 숙식비(38만원)를 포함하면 302만원까지 뛴다.

중기중앙회는 약 57.7%의 외국인 근로자가 내국인 이상 벌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이에 비해 외국인 근로자의 생산성은 낮다며 특히 올해는 ‘1년 미만’의 생산성이 지난해보다 더욱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산업현장에서는 외국인 근로자가 4개월의 수습기간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특히 낮은 생산성으로 인해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수습 기간 필요성은 모든 기업이 동의했다.

아울러 외국인 근로자 기본급이 꾸준히 증가(2022년 195만원→2024년 209만원)하는 것과 반대로 잔업수당은 지속적 하락(2022년 52만원→2024년 42만원), 중소제조업 경기가 점차 악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낮은 생산성에 대한 원인으로는 외국인 근로자의 ‘부족한 한국어 능력’을 꼽았다.

실제, 사업주의 외국인 근로자 관리 시 가장 큰 애로 요인으로 66.7%가 ‘의사소통(낮은 한국어 수준)’을 꼽았고, 이어 ‘잦은 사업장 변경 요구(49.3%)’ 등 순이다. 이는 대다수 사업주가 외국인 근로자와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의미한다고 중기중앙회는 밝혔다.

또 외국인 근로자 채용 시 최대 고려 사항은 ‘출신 국가(76.7%)’와 ‘한국어 능력(70.4%)’이었다.

외국인 근로자의 체류 기간(최장 9년 8개월) 적정성 여부에 대해 중소기업들은 ‘5년 이상 추가 연장’이 필요하다는 의견(33.1%)이 가장 높았다.

전문인력(E-7)을 고용할 의사가 있는 중소기업의 대부분은 장기로 외국인력을 활용할 수 있는 ‘숙련기능 점수제 인력(E-7-4)(88.1%)’를 희망했다.

이명로 중기중앙회 인력정책본부장은 “정부가 외국인 근로자 도입 쿼터 확대와 업체별 고용 한도 증대를 통해 일시적으로 인력난을 완화했지만, 현장에서는 외국인 근로자의 부족한 한국어 능력으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낮은 생산성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점을 이번 조사로 인해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외국인 근로자들의 낮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입국 전에 한국어 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이 필요하다”며 “중소기업의 안정적인 인력 운영을 위해 성실히 근무하는 외국인 근로자의 체류 기간을 연장하는 등 외국인력 활용에 있어 지속 가능한 정책적 개선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송대웅 기자 sdw0918@gwangnam.co.kr

#광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