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재무 “협상 진전없는 국가들은 8월 1일부터 상호관세 재부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의 무역 협상을 이끄는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협상에 진전이 없는 국가들에는 그동안 유예해온 상호관세를 오는 8월 1일부터 재부과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한편, 베선트 장관은 또 CNN 인터뷰에서 "우리(미국)는 우리와 교역을 많이 하지 않는 작은 국가들에 아마 100개의 서한을 보낼 것이다. 이들 국가 대부분은 이미 10% 기본관세를 적용받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무역 협상을 이끄는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협상에 진전이 없는 국가들에는 그동안 유예해온 상호관세를 오는 8월 1일부터 재부과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현지시간 6일 CNN 인터뷰에서 오는 8일 상호관세 유예가 끝나면 어떻게 되냐는 질문에 "우리는 향후 72시간 동안 매우 바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의 교역 파트너 일부에게 '협상을 진전시키지 않으면 8월 1일에 다시 4월 2일 관세 수준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내용의 서한을 보낼 것이다. 그래서 난 우리가 많은 합의를 매우 곧 보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12개 국가에 적용될 상호관세율을 적시한 서한들에 서명했으며 이 서한들을 오는 7일 발송할 예정이라고 지난 4일 기자들에게 밝힌 바 있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서한을 받는 국가들이 협상에 속도를 내 합의할지, 기존 상호관세율로 돌아갈지는 그들의 선택이라면서 이를 "최대 압박을 가하는 전술(playbook)"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오는 8일 전에 협상 타결이 임박한 국가가 있냐는 질문에 "우리는 몇 개의 합의에 근접했다"고 답했지만 해당 국가를 공개하지는 않았습니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미국과 성실하게 협상을 진행 중인 국가들에는 협상 기한이 연장될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해싯 위원장은 CBS 인터뷰에서 '주요 무역 파트너와의 협상이 9일까지 타결되지 않으면, 트럼프 대통령은 유예를 연장할 것인가'라는 물음에 "미국은 세계에서 일어나는 모든 문제에 대해 모든 국가와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며 "시한이 있고, 거의 (합의에) 가까워진 사안들이 있다. 따라서 아마도 이 사안들은 시한을 넘길 수 있다"고 답했습니다.
스티븐 미런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도 ABC 뉴스에 출연, 협상 시한 연장 가능성에 대해 "성실히 협상하고 합의를 위해 양보를 하는 국가들이 있다. 하지만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아직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내 예상에는 그런 국가들은 일정을 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베선트 장관은 또 CNN 인터뷰에서 "우리(미국)는 우리와 교역을 많이 하지 않는 작은 국가들에 아마 100개의 서한을 보낼 것이다. 이들 국가 대부분은 이미 10% 기본관세를 적용받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김민경 기자 (mkdream@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내란특검, 윤 전 대통령 구속영장 청구…수사 18일만
- 대형 헬기 무용론 속 ‘아파치’ 추가 도입 백지화
- 이재명 정부 첫 고위 당정…“신속한 추경 집행” 한목소리
- 최측근에서 최대 정적으로…감세 반발 머스크, 신당 창당 선언
- 삼척 낮 최고 39도…강릉은 7일째 잠 못 드는 밤
- “‘남은 음식’ 반값에” 구매 열풍…가치 소비로도 확장
- “CCTV에 찍힌 낯선 남성” 농촌 지역 고령층 노린 성범죄
- 지난해 폐업자 100만 명 돌파…절반은 소매·음식업
- 한미 막바지 관세 협상…“관세 유예 기대, 기술 협력 강조”
- 하나 둘 사라진 ‘장벽’…루게릭병 일본 참의원의 ‘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