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34주년] 내년 지방선거 '민심' 못 읽으면 진다
내년 진보진영 강세 가능성 제기
민주, 이재명정부 성과 통해 설욕
국힘, 최악 우려 속 반전찾기 고심
"중앙·지방 권력의 완성이냐, 이재명 정권의 독주 방지냐"
제21대 대선에서 이재명 대통령 시대가 열린 정치권 관심은 내년 6월 실시되는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집중되고 있다.
1년여 앞으로 다가온 이번 지방선거는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첫 전국 단위 지방선거로 이재명 정부 성공에 지방정부까지 뒷받침해 줄지 여부와 함께 현 정권 초반에 대한 평가 성격이라는 점에 여야 모두 총력전을 예고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총선과 대선 승리로 중앙 권력을 거머쥔데 이어 마지막 남은 지방권력까지 확보해 명실상부한 중앙과 지방권력을 완성하고자 한다, 국민의힘은 마지막 남은 지방권력만은 반드시 사수해 이재명 정권의 독주를 방지할 계획이다.
지난 2018년 제7회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은 도내 31개 기초단체장 중 무려 29곳에서, 국민의힘은 지난 2022년 제8회 지방선거서 22곳서 승리를 거둔 가운데 지난 대선 결과를 감안하면 내년 지방선거는 진보 진영 강세 가능성이 제기된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대선 승리 1년만에 실시되는 '허니문 기간'이라는 점에서 '이재명 정부의 성과'를 바탕으로 지난 지방선거 참패 설욕을 벼르고 있다.
민주당으로서는 현재 추진 중인 각종 개혁 작업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당원 주권 시스템 실현과 모바일정당 플랫폼 구축 등에도 주력할 예정이다.
대선 결과를 토대로 한 경기지역 현안에 대한 전략 마련이다.
다만 이재명 정부가 지방선거전까지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에 따라 도내 민심이 요동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최대 과제는 단연 위기에 처한 각종 민생 경제 활성화 방안이다. 각종 개혁보다 실생활과 직결된 사안에 도내 민심이 반응해서다.
지방선거 승리 가능성에 도취한 나머지 국민정서에 맞지 않는 언행 등도 경계해야 할 부분이다.
국민의힘은 당 안팍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해 있는 등 최악의 상황이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증폭되는 모습이다.
지난 총선에서 민주당에 역대 최악의 참패를 당한데 이어 계엄사태 후폭풍으로 지난 대선에서 3년 여만에 정권을 내주는 치욕을 당하기도 했다.
위기 상황의 연속이지만 현재로서는 마땅한 대안이 없는 실정이다. 당 지도부 구성을 위한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내 화합이 실현될지도 미지수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총선과 대선에 이어 도내 지방선거도 참패를 당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국민의힘 소속 지자체장들의 '지방정부 성과론'과 인물론을 앞세울 경우 최악의 상황은 모면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제기된다.
제1야당에 걸맞는 정부 견제 및 대안제시 등도 필요하다. 당선 가능성을 최우선에 둔 공천 여부도 관건이다.
도내 한 의원은 "내년 지방선거에 불리한 환경인 것은 사실이지만 도민들에게 더욱 낮은 자세로 다가가고,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저작권자 © 중부일보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